백약이 무효? 1월 소비자물가 4.1% 급등

머니투데이 김진형 김경환 기자 | 2011.02.01 08:09

(상보)정부 대책 집중에도 물가 급등…인플레 기대심리

정부의 물가안정종합대책도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도 환율의 평가절상도 소용이 없었다.

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정부의 각종 대책에도 불구하고 전년동월대비 4.1% 치솟았다.

특히 1월에는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마저 전년동월대비 2.6% 올랐다. 이는 사회전반적인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확산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일 통계청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4.1% 상승했다. 지난해 10월 4.1% 상승 이후 3개월 만에 4%대 상승했다.

당초 정부는 물가안정종합대책을 발표하면서 1월 소비자물가가 3%대 중반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이는 정부 예상을 훌쩍 뛰어넘은 수치다. 정부가 지난 11일, 13일 두 차례에 걸쳐 '설 민생대책', '물가안정종합대책'을 내놨지만 물가는 오히려 대책 발표 이전보다 더 큰 상승세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변동성이 적은 근원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동월대비 2.6%를 기록, 전달 2.0%에 비해 0.6%포인트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2009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는 공산품, 서비스업 등 사회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가 인플레 기대심리를 제때 제어하지 못한다면 앞으로 경제 운용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우려된다. 정부 목표인 3% 물가 안정 달성도 장담하기 어렵다.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4.7% 상승했고, 신선식품지수는 30.2% 뛰었다. 신선식품 가운데서도 신선 과실이 전년동월대비 40.3%, 기타신선식품이 69.7% 급등했다. 신선채소는 전년동월대비 29.6% 상승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23억 갚으면 '10억 빚' 또…"더는 못 갚아줘" 박세리, 이유 있었다
  2. 2 "이게 살짝 난 상처인가요?" 아들 얼굴 본 아버지 '분통'
  3. 3 산소마스크 내려오고 승객들 코피 쏟고…대만행 대한항공편 긴급 회항
  4. 4 '처형 강제추행' 혐의 유영재, 검찰 송치…선우은숙 측 녹취록 인정
  5. 5 절반이나 남아 생산라인 세웠다…재고 쌓인 전기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