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100 넘었는데, 새 펀드 '확 줄었네'

머니투데이 김성호 기자 | 2011.01.31 07:17

주식형, 포트폴리오 구성 쉽지 않아..증권사 랩상품 인기도 한 몫

코스피지수가 2000선을 넘어선 이후 새로 투자자들에게 선보이는 펀드를 찾기가 힘들어졌다.

단기간에 급등한 지수부담 탓도 있지만, 투자자들의 관심이 자문형 랩 등 증권사 랩 상품으로 쏠리면서 운용사들이 상품개발에 손을 놓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자산운용업계에 따르면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2007년 이후 지수대별 신규 공모펀드 수를 조사한 결과 2000선 돌파 이후 설정된 주식형펀드(국내+해외) 수는 45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700선 123개, 1800선 184개와 비교해 턱 없이 적은 수치며, 1900선 80개에 비해서도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

채권형펀드는 4개로 1700선 29개, 1800선 36개에 크게 못 미치고 있으며, 파생상품 역시 99개에 머물고 있어 최고치를 기록했던 1700선(397개)때와 비교해 4분의 1수준에 그치고 있다.

코스피가 2000선을 돌파한 이후 신규 펀드 수가 크게 감소한 것은 짧은 기간에 가파르게 상승한 지수 부담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주식형펀드의 경우 삼성전자가 100만원을 돌파하는 등 주요 개별종목들의 주가가 크게 상승, 펀드들이 신규 편입으로 노릴 수 있는 수익률이 크게 제한되고 있는 상태이다.

자산운용사 한 관계자는 "개별종목들이 강세를 보이고 코스피가 2100선까지 넘어선 현 지수대에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가 쉽지않다"며 "무리하게 신규펀드를 설정하기 보다는 기존 펀드 관리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과거에는 지수가 전고점을 돌파하면 '추종자금' 유입으로 펀드 설정이 늘어나는 것이 일상적이었다. 그러나 금융위기로 인한 수익률 급락의 기억이 채 사라지지 않아 투자자들이 선뜻 간접투자에 다시 나서지 못하고 있다는게 업계의 분석이다.

최근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증권사 자문형 랩도 신규 펀드 설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산운용사 한 관계자는 "주요 펀드판매사인 증권사의 경우 최근 자문사와 연계한 자문형 랩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은행도 이런 분위기에 편승해 신탁 상품도 자사 상품 팔기에 적극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무엇보다 투자자의 관심이 펀드 보다는 랩으로 쏠려 있다보니 신규 펀드 설정의욕이 떨어지는 게 사실"이라고 덧 붙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