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위기의 건설업 돌파구는 '해외건설'

머니투데이 이재균 해외건설협회 회장 | 2010.11.18 11:05
올해 해외건설 수주가 600억달러를 돌파하면서 연내 700억달러 달성도 기대되고 있다. 지난 9월에는 총 수주누계 2000억달러를 달성한 지 불과 4년여 만에 4000억달러를 달성하는 쾌거를 이뤘다.

올해로 해외진출 45년 역사를 맞고 있는 우리 해외건설은 그동안 특유의 끈질김과 성실성으로 온갖 시련과 역경을 극복하고 이제는 국내 수출 주력상품인 조선, 자동차, 반도체의 수출금액을 추월해 우리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활을 톡톡히 해왔다.

최근에는 2000년대 초부터 이어온 석유·가스 플랜트 위주의 수주에서 벗어나 원자력발전소, 자원개발과 연계한 패키지딜형 사업, 도시수출 등으로 수주 내용이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외건설은 앞으로 금융, 인력, 기자재, 기술 및 한국 문화와 상품까지 아우르는 토탈 솔루션 산업으로 발전함으로써 글로벌 건설시장에 한류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앞으로 수주확대 기조를 계속 이어가기 위해서는 선결해야할 과제들이 있으며 바로 시장 다변화와 공종 다각화를 통한 수주기반의 강화다.

시장 다변화의 경우 우리는 과거에도 중동 일변도의 수주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한 결과 1980년대 초반 이후 오랫동안 수주 침체기를 겪었던 경험이 있다. 따라서 중동에서의 경쟁력은 유지하되 아프리카, 중남미 등 신흥시장 개척에 적극 나서야 한다. 또 향후 정세가 안정된 뒤 거대시장을 형성할 이란, 이라크와 함께 아직 시장개척 초기단계에 있는 독립국가연합(CIS) 국가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도 필요하다.

고부가가치 공종으로의 다각화 노력도 필수적이다.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이 미래 발전모델로 부상함에 따라 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미래 유망 공종으로 꾸준한 성장이 예상되는 물산업 및 환경관련분야의 시장진출을 확대해야 한다. 여기에 자원개발과 인프라개발을 연계한 패키지딜형 사업, 도시수출 등의 부문에도 진출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시장 다변화와 공종 다각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 신시장에 대한 정보력을 강화하고 유망 공종의 프로젝트 발굴 및 초기단계 매몰비용 지원을 확대하는 등 새로운 건설시장개척을 지원해야 한다. 또 건설분야에 대한 파이낸싱 강화, 고위급 건설외교 등 개별 업체가 해결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 정부가 지원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장기적인 수주 확대를 위해서는 사업관리능력 강화도 매우 중요하다. 사업관리는 리스크와 직결되는 문제로 최근 업계의 현안으로 부상한 전문인력 수급 및 환율 변동 리스크가 대표적인 사례로서 이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우선 전문인력 문제는 플랜트공사 수주확대와 함께 심화돼 현재 업체들 사이에 인력확보 비상이 걸려있다. 이로 인해 업체간 스카우트 경쟁도 공공연히 이루어지고 있다. 프로젝트의 개별 공정 관리는 물론 공사 전반을 총괄할 수 있는 프로젝트 매니저(PM) 등의 전문인력 확보가 시급하므로 이에 대한 해결이 추가 수주확대를 위한 선결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프로그램 확대를 통한 수급문제 해결과 함께 양성된 전문가를 체계적으로 등록·관리할 수 있는 정부차원의 시스템 마련이 조속히 이뤄져야 할 것이다.

환율 변동에 대한 리스크 경감 대책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해외건설은 유럽 경제위기에 따른 유로화 경쟁력 상승, 경기부양을 위한 미국의 양적완화 조치 등으로 인한 환율 리스크에 직접적으로 노출돼있다.

이미 최근의 원화가치 상승에 따라 시공 공사의 수익성 하락 및 입찰공사의 원가경쟁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높다. 일부 대기업의 경우 지급통화와 지불통화 일치(Matching), 선물환거래 등을 통해 환리스크를 관리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환리스크에 직접 노출돼있어 이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 무역보험공사의 환변동보험 등의 지원 확대를 통해 건설업체들이 수주확대에 전념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내 건설시장의 극심한 불황으로 국내 건설면허를 보유한 기업 중 절반 가까이에 해당하는 1만2000개사가 금년에 수주가 전무할 정도로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건설업 위기의 돌파구를 해외에서 찾을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해외건설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조국 "이재명과 연태고량주 마셨다"…고가 술 논란에 직접 해명
  2. 2 "싸게 내놔도 찬밥신세" 빌라 집주인들 곡소리…전세비율 '역대 최저'
  3. 3 한국은 2000만원인데…"네? 400만원이요?" 폭풍성장한 중국 로봇산업[차이나는 중국]
  4. 4 "거긴 아무도 안 사는데요?"…방치한 시골 주택 탓에 2억 '세금폭탄'[TheTax]
  5. 5 남친이 머리채 잡고 때리자…"너도 아파봐" 흉기로 반격한 여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