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금융사 부실PF채권 매각 ‘제자리’

더벨 윤아영 기자 | 2010.10.25 10:36

부동산 침체로 안팔려..."PF사업장 매각은 계속 진행"

더벨|이 기사는 10월21일(13:37)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인수한 저축은행 부실프로젝트파이낸스(PF)채권 매각이 지지부진하다. 부실 PF 채권을 고가에 사들였지만 적정한 매각 가격을 찾지 못해 지켜보고만 있다.

캠코는 2008년 저축은행에서 108개 사업장을 2110억원에 인수했다. 그 중 현재 5개 사업장이 매각됐고, 11개 사업장의 매각이 추진되고 있다.

캠코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가 괜찮아져야 제값을 받고 팔 수 있다”며 “PF사업장의 매각은 계속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가 악화로 공사가 중단된 PF사업장은 캠코가 매입했을 때보다 가격이 더 떨어지고 있다.

신탁사 관계자는 “캠코가 지난 일 년 동안 매각해달라고 요청한 사업장은 한 곳뿐”이라며 “그나마 그것도 공매로 내놓았지만 안 팔려서 가격만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PF사업장은 공사가 진행돼 분양이 이뤄져야 사업이익을 낼 수 있다. 하지만 공기업인 캠코는 가격을 낮춰 매각을 하거나 추가 사업진행자금을 투입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을 시도하기 어렵다.

매수자도 PF사업장에 채권은행간 이해관계가 얽혀있어 쉽게 나설 수 없다. 매수자가 PF사업장을 전부 인수하지 못해 진행권을 가지지 못하거나 사업장에 딸린 부채도 같이 떠안아야 할 수도 있다. 게다가 사업 진행을 위해서는 PF를 새로 일으켜야 하는데 금융기관에서 PF대출을 꺼리고 있다.

캠코가 저축은행 부실PF채권을 매입할 때 대금을 과도하게 지급한 것도 매각을 어렵게 만들었다. 지난 19일 감사원은 캠코가 2008년 부실PF채권을 매입할 때 잘못된 회수예상가액으로 인수했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캠코는 산정기준에 따라 계산된 회수예상가액보다 378억원을 더 지불했다.

팔리지 않은 부실PF채권은 다시 저축은행들의 부담으로 돌아간다. 캠코는 부실PF채권을 매입하면서 3년의 정산기간 후에도 팔리지 않으면 저축은행에서 사간다는 바이백(Buy Back) 옵션을 두었다. 지금처럼 부동산 불황이 지속된다면 저축은행은 내년에 캠코에 넘긴 부실PF채권을 다시 인수해야 한다.

저축은행이 미리 대손충당금을 설정해도 부실PF채권을 다시 보유하게 되면 손해가 커진다. PF대출 한도 규제로 추가로 자금을 투입해 사업을 진행하기는커녕 빨리 처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감사원은 39개의 저축은행이 사후정산기간 동안 손실가능 예상액을 규정보다 3758억원 적게 산정했다고 변경을 요구했다.

베스트 클릭

  1. 1 조국 "이재명과 연태고량주 마셨다"…고가 술 논란에 직접 해명
  2. 2 "싸게 내놔도 찬밥신세" 빌라 집주인들 곡소리…전세비율 '역대 최저'
  3. 3 한국은 2000만원인데…"네? 400만원이요?" 폭풍성장한 중국 로봇산업[차이나는 중국]
  4. 4 "거긴 아무도 안 사는데요?"…방치한 시골 주택 탓에 2억 '세금폭탄'[TheTax]
  5. 5 남친이 머리채 잡고 때리자…"너도 아파봐" 흉기로 반격한 여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