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수부 사정 신호탄… 대기업 2∼3곳 수사

머니투데이 류철호 기자, 김성현 기자 | 2010.10.21 15:18

(종합)중수부 C&그룹 전격 압수수색, 재계 10위권 내 기업 등도 내사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수사를 전면 중단,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였던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검사장 김홍일)가 수사의 칼날을 '대기업 비리'에 정조준하고 있다.

21일 검찰과 재계 등에 따르면 대검 중수부는 이날 압수수색을 단행한 C&그룹을 포함해 현재 대기업 2∼3곳의 비리 혐의를 포착하고 내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의 C&그룹 압수수색은 대대적인 사정수사의 신호탄으로 1년 반 만에 기지개를 켠 중수부의 행보에 재계의 시선이 집중된다.

수사 대상에는 10위권 내 대기업의 계열사인 A사와 B사 등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A사는 수사망에 포착된 기업체 중 규모가 가장 큰 곳으로 검찰은 이 업체가 역외펀드를 이용, 해외에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특히 A사가 그룹 비자금 조성의 핵심 창구 역할을 해온 것으로 보고 그룹 전체로 수사를 확대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B사가 단기간에 공격적인 M&A 등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면서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 정관계 등에 광범위한 로비를 벌인 정황을 포착하고 내사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중수부의 수사 개시는 지난해 6월 '박연차 게이트' 수사 종료 이후 1년 반 만이다. 이 때문에 재계는 물론 정관계도 검찰의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다. 기업비리에서 시작된 수사의 불똥이 정관계로 확산될 여지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김준규 검찰총장은 지난 8월 취임 1주년을 맞아 중수부에 '특수통' 검사들을 전진 배치했다. 기업체의 비리 첩보 수집을 강화하는 등 사전작업에 상당한 공을 들인 것으로 알려져 수사의 여파가 상당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김 총장은 지난 18일 대검 국정감사에서 "1년 동안 예비군 체제로 운영되던 중수부가 몇 달 전부터 동원 체제에 들어갔고 수사 재개는 시점 문제"라고 기업 사정수사가 임박했음을 내비쳤다.

한편 검찰은 이날 서울 장교동 C&그룹 본사와 대구에 있는 이 그룹 계열사 C&우방 등 3곳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날 각종 회계장부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한 뒤 곧바로 압수물 분석에 착수했다.

C&그룹은 2006년 말 20억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했으며 한 때 재계 서열 60위권에 오른 대기업이다. 이 그룹은 C&해운과 C&상선, C&우방 등 41개 계열사를 거느리며 참여정부 시절 인수·합병을 통해 몸집을 크게 불렸다.

하지만 2008년 11월 핵심 계열사인 C&중공업이 조선업계 경기침체로 유동성 위기를 겪으면서 C&우방과 함께 워크아웃 절차에 들어갔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투입된 대규모 공적자금 중 일부를 경영진이 횡령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최근 C&그룹이 상장 폐지된 회사들을 이용해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한 정황을 포착하고 정관계를 상대로 한 로비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이 끝나는 대로 그룹 임원과 관계자들을 차례로 소환해 비자금 조성 경위와 용처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중환자실 유재환, 산소호흡기 떼려고 몸부림 쳐"…모친이 전한 그 날
  2. 2 '쌍라이트' 조춘, 90세 된 근황 "목에 철심 12개…식물인간 될 뻔"
  3. 3 스시 시켰더니 '벌거벗은 여성'이… 사무라이 악습 따라한 대만
  4. 4 집주소도 털린 '밀양 가해자' 잠적?…"차도 없고 종일 불 꺼놔" 목격담
  5. 5 "치킨 안 팔리겠네" 한국축구 충격의 탈락…물 건너간 올림픽 특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