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전시관, 코트라-대전시의 큰 가격차

더벨 김효혜 기자 | 2010.09.27 07:38

유일한 인수 후보 대전시 238억원 제시, 감정평가액과 130억원 차이

더벨|이 기사는 09월24일(13:22)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코트라의 대전무역전시관 매각이 여전히 난항을 겪고 있다. 대전시 외에는 전시관을 매입할 곳이 없는 상황이지만 양쪽이 원하는 가격의 차이가 너무 크다는 게 문제다.

대전무역전시관(KOTREX)은 정부의 공공기관 선진화 계획에 따라 민영화가 결정된 코트라의 산하기관이다. 코트라는 지난해 말 삼일회계법인을 매각 주관사로 선정하고 매각에 착수했다.

지난 두 번의 입찰은 모두 대전시의 단독 응찰로 유찰됐다. 국가계약법에 공공기관을 공개 경쟁입찰로 매각할 때는 2인 이상이 후보로 참여해야 하지만, 1차 매각입찰 때는 스크린 골프 업체 '골프존'이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하고도 본입찰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2차 매각 때는 대전시만 LOI를 접수해 유찰됐다.

대전시는 무역전시관 민영화가 확정된 이후 계속해서 인수 의사를 밝혀왔다. 무역전시관이 엑스포공원과 인접해 있어 대전시가 오랫동안 공들여 준비해 온 '엑스포 재창조'사업에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전시관 일대를 엑스포공원과 묶어 대전컨벤션센터(DCC)와 연계한 국제컨벤션센터로 개발하겠다는 청사진을 갖고 있다.

대전시는 정부로부터 청산명령을 받은 '재단법인 엑스포과학공원'을 인수 주체로 내세웠다. 여기에는 무역전시관 인수를 통해 국제컨벤션센터 개발과 과학공원 고용문제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겠다는 복안이 깔려있다.

무역전시관은 현재 부지의 78%가 자연녹지이며, 나머지 22%는 전시관 및 부대사업을 의한 공간이다. 부지의 용도변경에 대한 인허가권은 대전시가 갖고 있다. 용도 변경을 통해 해당 부지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면 보다 많은 원매자가 나타날 수 있다. 코트라는 매각이 결정된 시점부터 대전시에 용도변경을 가능케 해달라고 요구해왔다.


그러나 대전시에 따르면 무역전시관 부지는 지난 2008년 '도시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돼 용도 변경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전시관 외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인수를 추진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뜻이 된다. 당연히 인수후보가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현재로서는 무역전시관을 인수할 곳이 대전시 외에는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대전시가 제시한 가격이 코트라입장에서 너무 낮다는 게 문제다.

대전시는 1차 입찰 당시 238억원을 써낸 것으로 알려졌다. 코트라에 따르면 무역전시관(건물과 부지 일체) 감정평가액은 367억원으로 차액이 무려 130억원에 달한다.

코트라는 헐값 매각 시비가 불거질 것을 우려해 가격을 낮출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수의계약도 가급적 피하겠다고 한다. 두 차례의 입찰이 불발된 이후 어떤 방식으로 다시 매각에 나설지 늦어도 9월 말까지는 결정을 내리겠다는 방침이지만 현재로서는 뾰족한 수를 찾지 못하고 있다.

대전시 역시 인수가격을 올릴 수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3차 입찰을 실시하면 참여할 의사가 있지만 전시관의 감정평가액이 다소 높게 책정됐다"며 "(가격을 올릴 경우에는)비싸게 매입했다는 논란에 휩싸일 소지가 있어 합리적인 수준이 아니면 안 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