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리비아 사태 有感

머니투데이 엄성원 기자 | 2010.07.28 16:53
리비아가 지난달 중순 우리 외교관을 사실상 스파이로 규정, 추방하면서 양국간 관계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사태는 지난달 중순을 기점으로 급속히 악화된 양상이다. 리비아 정부는 지난달 15일 서기관 직급의 주리비아 대사관 직원을 기피 인물인 '비우호적 인물'(persona non grata)로 통보했다. 비우호적 인물 통보는 사실상의 추방 선언이다. 관례상 72시간 내에 출국하는 것이 보통이다.

같은날 현지에서 8년간 일해온 한국인 선교사와 그와 연관된 한국인 농장주 1명이 리비아 정부 당국에 구금돼 조사를 받았고 비슷한 시기 현지에 진출한 일부 한국 기업들도 잇달아 뇌물 수수 등에 대한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급기야 지난달 23일 리비아는 주한 리비아 경제협력대표부 직원들을 철수시키고 사실상 영사 업무를 전면 중단했다.

리비아에서 절대군주인 카다피에 관한 모든 것이 최고 금기 사항이라는 점을 십분 인정한다고 해도 그동안 양국간의 밀월 관계에 비춰 리비아측의 극단적 조치는 다소 이례적이다.


이 때문에 갖가지 억측이 난무한다. 정부가 리비아와 북한 방산업체간 협력 등 북한 관련 정보를 무리하게 수집하다 북한과 수교관계에 있는 리비아 정부를 곤란하게 만들면서 이번 사태가 빚어졌다는 것이다. 또 정보원을 포섭하기 위해 현지 관리에 금품을 건네고 얻은 정보를 미국과 이스라엘 등에 제공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심지어 천안함 사태 때 어뢰 설계도를 리비아에서 구한 것이 아니냐는 말까지 나돌고 있다.

우리와 리비아간의 관계가 이 지경까지 왔다는 것을 일반 국민이 안 것은 불과 며칠 전이다. 리비아와 이해 관계에 놓인 기업들도 놀라기는 마찬가지이다.

외교관이 추방된 지 한달, 실세로 불리는 대통령의 친형이 특사 자격으로 리비아를 방문한 지 보름이 넘는 시간 동안 정부가 함구하면서 부풀려진 것은 설과 의혹뿐이다.

물론 외교에 비밀주의는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지나친 것은 좋지 않다. 최악의 상황이 오기 전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을 주는 것도 대국민 서비스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2. 2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3. 3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4. 4 군중 앞 끔찍한 전처 살해…"안 잡힐 자신 있다" 증발 16년째[뉴스속오늘]
  5. 5 "살결 부드러워"… BTS 진에 '기습뽀뽀' 한 일본팬, 뻔뻔한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