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 '정권심판론' 아닌 '인물' 택했다

머니투데이 양영권 기자 | 2010.07.28 22:31
7.28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가 민주당의 참패로 끝났다. 특히 관심을 모았던 서울 은평을과 충북 충주에서 모두 큰 표 차이로 패했다는 점에서 향후 지도부 책임론 등 후폭풍이 거셀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 등 야당은 지난 6.2 지방선거 승리의 여세를 몰아 재·보궐 선거전 시작 이래 줄곧 '정권심판론'을 펼쳤다. 여기에는 "6.2 지방선거에 나타난 민심을 볼 때 누구를 내더라도 해볼만 하다"는 인식도 작용했다.

서울 은평을과 충북 충주의 이재오·윤진식 당선자가 이명박 대통령의 최측근인 '왕의 남자'로 불린다는 점에서 이같은 민주당의 전략은 크게 조명을 받았다.

이 당선자와 윤 당선자는 4대강 사업과 세종시 수정안 등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후보들인 만큼 '정권 심판론'이라는 큰 물살을 거스를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됐다.

선거 기간 중 잇따라 터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무차별적인 민간인·정치인·공무원 사찰 의혹과 '영포라인' 공기업·금융회사 인사·이권 개입 의혹 등도 '정권심판론'에 힘을 보태는 듯 했다. 여기에 한나라당 강용석·차명진 의원과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설화'를 통해 본의 아니게 민주당을 측면 지원하는 모양새를 연출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철저하게 '인물론'으로 맞섰다. 이재오 당선자는 한나라당을 부각시키는 것이 선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에 선거전 개시 이후 철저하게 중앙당의 지원을 거부한 채 '나홀로' 선거운동을 벌였다. 40여년간 해당 지역에 거주하면서 지역을 위해 일해 왔다는 '겸손한 지역일꾼론'을 부각시켰다.

윤진식 당선자는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경력을 내세우며 "낙후된 충주를 살릴 수 있는 인물은 윤진식 뿐"이라고 강조했다. 충남 천안을의 김호연 당선자 역시 지역에 연고를 둔 대기업의 최고경영자(CEO) 경력을 전면에 내세웠다.

결과적으로 민심은 '인물론'에 지지를 보낸 셈이다. 중앙 정치 차원의 선거운동은 자칫 지역 이슈에 대해 침묵하는 것처럼 해석될 수도 있다. 아울러 유권자들은 6.2 지방선거와 거의 동일한 내용의 '정권심판론'에 실증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선거 기간 중 수권을 꿈꾸는 정당으로서의 대안을 제시하는 데도 실패했다. 청와대와 정부, 여당이 선거 막판 '친서민' 구호를 들고 나왔을 때 여당은 이같은 구호의 진정성과 순수성을 의심하는 논평 수준의 대응에 그쳤을 뿐 '원조' 서민정당으로서의 모습을 충분히 보여주지 못했다는 평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300만원 든 지갑 돌려준 노숙자, 돈벼락 맞았다…"수천만원 돈쭐"
  2. 2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3. 3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4. 4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5. 5 "허웅이 낙태 강요…두 번째 임신은 강제적 성관계 때문" 전 여친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