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리비아 마찰, '스파이 활동' 혐의 논란 때문

머니투데이 변휘 기자 | 2010.07.27 15:40

"국정원 직원, 현지서 北정보 수집하다 추방"… 최근 한국인 선교사 구금

최근 한국인 선교사 체포 및 구금이 벌어지는 등 한국과 리비아 관계의 이상기류가 벌어진 원인이 국가정보원 직원의 현지 정보수집 활동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외교 소식통은 27일 "리비아 보안당국이 지난달 한국 외교관을 스파이 활동 혐의로 추방했다"고 전했다.

외교관 신분의 이 국정원 소속 직원은 리비아 현지에서 북한과 관련된 방위산업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을 하다가 리비아 정보당국에 발각돼 스파이 혐의로 조사를 받다가 최근 추방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리비아 보안당국은 우리 측 정보당국 직원의 정보수집 활동을 리비아 정부요인에 대한 첩보활동으로 인식하고 한국 정부에 문제를 제기한 뒤, 해당 직원을 추방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해당 직원의 활동은 통상적인 정보수집 활동이었다"며 "리비아 측의 오해가 있었고 이에 따라 정부 대표단이 리비아에 파견돼 관련 내용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지난 6일 이명박 대통령의 친형인 한나라당 이상득 의원을 대통령 특사로 리비아에 파견한 바 있다. 그러나 이 의원은 카다피 국가원수 등 리비아 최고위급 인사들을 만나지 못한 채 귀국한 바 있다.


정부의 설명에 대해 리비아 보안 당국은 아직까지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리비아 당국은 지난 6월에는 주한 리비아 경제협력대표부 직원들을 한국 정부에 통보도 하지 않고 본국으로 철수시키고 영사 업무를 중단했다. 정부가 경제협력대표부 철수 사실을 인지한 것은 리비아 직원들이 모두 본국으로 떠난 뒤였다. 분명한 외교적 결례지만 한국으로서는 항의조차 하지 못한 것.

또 최근 에는 기독교 선교 혐의로 한국인 선교사 구모씨와 농장주 전모씨가 리비아 당국에 체포·구금됐다.

스파이 활동은 양국간 외교 단절까지 야기할 수 있는 사안이라는 점을 감안해 정부는 이번 일을 외부에 알리지 않은 채 해결하기 위해 시도해 왔지만 한국인 선교사 구금 등 상황은 점점 더 악화되고 있는 형편이다.

구씨는 불법 선교 활동과 종교 관련 책자 반입 혐의로, 전씨는 구씨에게 자금 등을 대준 혐의로 현재 구금돼 있으며 주 리비아 대사관의 영사접근도 허용되지 않고 있는 상태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반격 나선 유영재, 전관 변호사 선임…선우은숙 측 "상상도 못해"
  2. 2 "의대 증원 반대" 100일 넘게 보이콧 하다…'의사 철옹성'에 금갔다
  3. 3 김호중 구치소 식단 어떻길래…"군대보다 잘 나오네" 부글부글
  4. 4 김호중 앨범 75억어치 보내놓고…"100억 기부했으니 봐달라" 논란
  5. 5 티아라 아름, 아동학대 혐의 송치…자녀 접근금지 명령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