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류하는 서울시 '新도시계획사업'

머니투데이 서동욱 기자 | 2010.07.14 14:51

조건부 협상 대상지 16곳 중 7곳만이 사업계획서 제출

서울시가 시내 요지에 방치된 대규모 부지를 개발하겠다며 추진 중인 '신 도시계획 운영체계' 사업이 민간의 참여부진으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14일 서울시와 업계에 따르면 신도시계획 조건부 협상지로 선정된 개발예정지 16곳 가운데 현재 서울시에 사업제안서를 제출한 곳은 7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지난해 6월 공장이나 터미널 등으로 사용돼 오다 토지 이용의 효율성이 떨어진 1만㎡ 이상의 대규모 부지를 민간을 통해 개발키로 하고 성동구 뚝섬 삼표레미콘부지 등 16곳을 조건부 협상대상지로 선정, 발표했다.

하지만 △뚝섬 삼표레미콘 △서초구 롯데칠성 △서초구 남부터미널 △마포구 홍대역사 △동대문구 동부화물터미널 △강동구 서울승합차고지 등 7곳만이 사업제안서를 제출, 나머지 9곳은 개발계획은 사실상 백지화됐다.

사업제안서처가 제출된 7곳 중에서도 삼표 레미콘부지와 강동구 서울승합차고지 2곳 외에는 구체적인 사업계획이 결정되는 본협상에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서초구 남부터미널의 시설복합화 공사 계획의 경우 사업신청자와 서울시간에 허용 용적률 적용 문제를 놓고 이견이 있어 사업계획이 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있다.


나머지 사업 역시 용도변경 범위나 개발영향 대책마련 등에서 의견 일치를 못보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민간에선 주로 주택분양을 염두에 두고 사업 참여의사를 밝혔지만 부동산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계획을 접거나 수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삼표레미콘부지의 경우 현대차그룹이 110층짜리 초고층 사업계획을 밝히고 있지만 용산 국제업무지구 등 초고층 사업이 위기를 맞으면서 당초 목표대로 사업이 추진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나마 강동구 서울승합차고지 개발계획은 서울시와 사업자간 의제별 협상안이 타결되는 등 가장 빠른 진척도를 보이고 있다. 이 사업은 강동구 고덕동 1만5900㎡부지의 차고지를 준주거지역으로 바꿔 업무, 판매, 주거, 문화·복지시설을 짓는 프로젝트로 시는 연내 도시계획변경 등 행정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2. 2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3. 3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4. 4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5. 5 피자·치킨 20인분 배달가니 "안 시켰다"…후불 '음식테러' 한 사람 정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