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그룹 '쌍용차' 인수 직접 나선 까닭은

더벨 민경문 기자 | 2010.06.08 08:33

신흥국 공략에 활용 가능...전기차 라인 확보·노조문제 해결 포석일수도

더벨|이 기사는 06월03일(15:49)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르노그룹이 쌍용자동차 인수전에 직접 나선 배경은 무엇일까. 지난달 28일 인수의향서(LOI)를 접수한 주체는 르노닛산이다. 인수에 성공할 경우 쌍용차는 르노삼성의 자회사가 아닌 르노그룹의 일원으로 편입된다는 얘기다.

따라서 단순히 르노삼성의 국내 생산능력 확대 및 라인업 다양화라는 목표에 그치지 않고 글로벌 시장을 염두에 둔 포석이 아니냐는 평가다. 특히 브릭스(BRICs)를 중심으로 한 신흥국 공략에 '쌍용차 카드'를 활용할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르노는 이미 브라질, 러시아, 인도 등지에 자동차 생산 거점을 가지고 있다. 지난 2008년 초에는 10억 달러를 투자해 러시아 최대 자동차 업체인 아브토바즈(Avtovaz)의 지분 25%를 인수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카를로스 곤 회장이 신흥국에 대한 추가 투자에 가장 큰 열의를 보이고 있다.

쌍용차는 이 같은 르노의 신흥 시장 공략에 든든한 지원군이 될 수 있다. 특히 신흥국 대부분이 국토 면적이 넓은 데다 오프로드 자동차의 매력도가 높은 편이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생산이 주력인 쌍용차가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이유다.

더구나 이 시장은 환경 안전 규제가 그리 까다롭지 않고 배기량에 비해 큰 차체를 선호하는 것이 특징이다. 쌍용차와 같은 프레임(차체를 가로지르는 강철 뼈대) 타입의 차량에 익숙하다는 평가다. 가격에 민감하다는 점도 쌍용차로서는 메리트로 작용한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르노가 현지에 보유한 공장을 통해 녹다운(Knock down : 조립생산) 방식으로 쌍용차를 생산할 경우 그 가능성은 충분하다”며 "이 같은 방식은 국내 부품업체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르노의 강점인 디젤 기술이 접목될 경우의 시너지도 예상 가능하다.

중국 시장에 본격 진출하지 않은 르노 입장에서는 쌍용차를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다. 한국정부가 최근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추진중인 점은 르노자동차의 가격 경쟁력을 기대해 볼만 하다. 쌍용차 역시 르노의 글로벌 판매망은 수출 다변화에 가속도를 더할 수 있다.

쌍용차를 인수할 경우 르노가 직접 평택 공장에 전기차 생산 라인을 구축하는 것도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다. 이미 르노닛산은 차세대 전기차 '리프(Leaf)'로 이미 경쟁력을 인정받은 상태다. 특히 천안 아산 쪽에 삼성 협력업체들이 다수 포진해 있다는 점은 부품 공급 면에서 큰 힘이 된다.

르노그룹의 전면 참여가 쌍용차 인수 시 세제 혜택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나온다. 지난 2005년 르노삼성이 부산시에 엔진공장 설립과 관련 6000억원을 투자했지만 외국인투자자로 인정받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법인세 면제와 같은 세제혜택을 누릴 수 없었는데 이번에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것일 수도 있다.

쌍용차 인수의 아킬레스건으로 평가받는 노조 역시 르노그룹이 나설 경우 원만히 해결될 가능성이 높다. 사원 대표위원회가 노조 역할을 대표하고 있는 르노삼성과 달리 르노그룹은 강성노조를 보유하고 있다. 그만큼 향후 쌍용차 노조를 받아들이는 데 큰 이견은 없을 거란 설명이다.

베스트 클릭

  1. 1 "몸값 124조? 우리가 사줄게"…'반도체 제왕', 어쩌다 인수 매물이 됐나
  2. 2 [단독]울산 연금 92만원 받는데 진도는 43만원…지역별 불균형 심해
  3. 3 점점 사라지는 가을?…"동남아 온 듯" 더운 9월, 내년에도 푹푹 찐다
  4. 4 '악마의 편집?'…노홍철 비즈니스석 교환 사건 자세히 뜯어보니[팩트체크]
  5. 5 "여보, 이자 내느니 월세가 낫겠어" 영끌 접었나…확 달라진 분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