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건설사들 "그때는 몰랐어요"

머니투데이 임지수 기자 | 2010.05.11 08:09
"그때는 중대형이 돈이 될 줄 알았죠."(중견 건설사 관계자)

중대형 아파트의 수난시대다.

신규 분양 단지내 중대형 가구에서 '제로(0) 청약률'이 나왔다는 뉴스가 더는 새롭지 않다. 고양 삼송, 남양주 별내 등 수도권 인기지역에서도 중대형 분양 단지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한 단지내에서 3.3㎡ 매매가격 기준으로 평수가 작은 아파트가 큰 아파트 값을 넘어서는 경우를 넘어서 아예 중·대형 평형간 매매가 자체가 역전되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건설사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는 미분양아파트에서도 중대형은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올 3월 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아파트는 총 11만2910가구이며 이중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은 6만6307가구로 절반을 넘어선다. 특히나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후 미분양에서도 중대형이 차지하는 비중은 50% 이상이다.


이렇다 보니 중대형 아파트를 짓도록 정해진 공공택지를 공급받은 건설사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당초 계획대로 중대형을 지을 경우 악성 미분양 단지로 전락할 게 뻔하지만 그렇다고 사업을 중단할 수도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최근 건설업계가 정부를 상대로 중대형으로 분양 받았던 공공 택지를 중소형으로 용도 변경해 달라고 건의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시계를 몇년 전으로 돌린다면 현재 중대형 택지 문제로 한숨을 쉬고 있는 건설업체들도 해당 택지를 분양 받았을 당시에는 한숨 대신 환호성을 질렀을 것이다. 부동산 호황기에는 무조건 중대형을 사야 돈된다"는 '중대형 불패신화' 덕분에 대부분의 건설업체들이 중대형 택지를 분양 받으려 했었다.

시장 상황이 변했으면 정부도 그에 맞는 대책으로 위기에 놓인 건설사의 시름을 덜어줘야 할 책임이 있다. 하지만 건설사들도 현재의 어려움을 모두 시장 상황이나 규제를 완화해 주지 않는 정부 탓으로 돌려서는 안된다.

건설업계도 '미분양 문제의 일차적 책임이 기업에 있다'거나 '무분별한 투자로 미분양 사태를 양상한 건설업체의 책임도 적지 않다'는 정부 측 지적에 귀를 기울여야 할 때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황재균과 이혼설' 지연, 결혼반지 뺐다…3개월 만에 유튜브 복귀
  2. 2 "밥 먹자" 기내식 뜯었다가 "꺄악"…'살아있는' 생쥐 나와 비상 착륙
  3. 3 1년 전 문 닫은 동물원서 사육사 시신 발견…옆엔 냄비와 옷이
  4. 4 "연예인 아니세요?" 묻더니…노홍철이 장거리 비행서 겪은 황당한 일
  5. 5 우리 동네 공인중개사들은 벌써 느꼈다…"집값 4%대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