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에서 72억$ 손실이 발생한 이유는?

머니투데이 김익태 기자, 김지민 기자 | 2010.04.19 10:11

[2010 금융강국코리아]<1부 리스크관리에도 철학이 필요하다>

리스크(Risk)는 예상하지 못한 미래의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불확실성 정도를 뜻한다. 금융회사에게 리스크는 이 같은 불확실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이다. 예컨대 은행이 리스크관리를 제대로 못하면 당장 손실이 현실화된다. 리스크관리는 금융 산업에 있어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금융은 기본적으로 리스크관리 산업이다. '금융의 8할은 리스크 관리'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


리스크관리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을 때 그 결과는 참혹하다. 프랑스 2위 은행이었던 소시에떼 제네럴(SG)에서 벌어진 일이 대표적이다. 허술한 내부통제 시스템으로 인해 세계 금융 역사상 최대 규모인 72억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 이 은행 트레이더인 제롬 케르비엘이 사내 보안시스템을 교묘하게 악용해, 한도를 넘는 파생금융상품에 투자했다 벌어진 일이다. 케르비엘은 구속됐고, SG은행은 주요 인수·합병(M&A) 대상이 됐다.

금융환경이 복잡 다양해지고, 금융위기가 빈발하면서 금융회사는 물론 국가적 차원의 리스크관리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1997년의 아시아 위기, 1999년 브라질 위기 등 전 세계를 강타한 금융위기를 통해 이는 더욱 극명해졌다. 2008년에는 비우량주택담보대출(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전 세계 금융시장이 영향을 받았다. 씨티그룹, AIG 등 글로벌 금융회사의 몰락 원인도 리스크 지배구조 및 통합적 리스크 관리 실패에 있었다.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금융 산업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투자은행의 몰락에 따른 대형 겸업은행이 생겨나고 있다. 미국의 주요 은행들은 위기 전보다 덩치가 더욱 커졌고, 사업영역도 다각화하고 있다. 유럽의 우량 은행들도 적극적인 인수·합병(M&A)에 나서며 대형화와 국제화를 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우리금융 민영화 등을 계기로 대형은행(메가뱅크) 탄생 논의가 한창이다.

금융그룹이 대형·겸업·국제화 되면 리스크관리 체계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대마불사(大馬不死)식 공격적 경영으로 인한 리스크 증가 가능성과 겸업, 내부거래 등으로 계열사의 리스크가 그룹전체로 확대될 소지 등을 안고 있는 탓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이른바 리스크 지배구조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이유다.

이와 관련 미국·영국·캐나다·프랑스·독일·일본·스위스 등 7개 국가의 10개 금융감독기구 고위경영진으로 구성된 고위감독자그룹(SSG)은 지난해 10월 의미 있는 결과물을 내놨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24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금융안정위원회(FSB)에 20개 대형은행그룹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가진단 결과를 발표했다.

SSG는 각 금융기관의 자가진단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 지배구조와 인센티브, 인프라의 취약성이 리스크관리를 훼손시켜 이번 금융위기를 초래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음을 발견했다. 금융회사가 실제 부담하고 있는 리스크와 이사회가 판단하고 있는 리스크 간 괴리로 인해 리스크관리에 실패했다는 교훈을 얻었다. 독립성과 전문성을 갖춰야 할 이사회 내 리스관리위원회의 운영이 형식적으로 이뤄졌다는 반증이다.

국내은행의 경우 리스크관리위원회를 이사회 소위원회로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 은행들의 리스크관리위원회가 리스크의 감내 수준과 리스크한도, 리스크자본배분 등의 결정을 담당하고 있다. 리스크관리책임자(CRO)가 리스크위원회에 참여하는 것을 의무화하지 않은 곳도 있고, 실무와 운영위원회만을 주도하고 있다.


구정한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바람직한 CRO의 권한 및 역할'에서 "CRO에게 의사결정에 대한 독립성을 주고 리스크관리위원회 또는 CEO에게 직접 보고하는 시스템을 통해 소통의 기회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달리 대부분의 해외 은행의 경우 CRO는 리스크위위원회에 의무적으로 참석해야 한다. 이사회 리스크위원회 의장을 맡는 경우도 있다. 스페인 최대 은행 방코산탄데르의 경우 그룹 부회장이며 이사회 구성원인 CRO가 리스크위원회 의장을 맡아 강력한 리스크관리의 주체로 활동하고 있다. 보고체계도 각 국가별로 차이는 있지만 이사회나 CEO에 보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CRO가 독립적인 지위를 갖기 위해선 임기와 보상수준 등을 명문화 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시중은행의 CEO평균 임기가 3년 정도인 반면 CRO의 임기는 절반 수준인 17.5개월 정도에 그치는 수준이다. CRO가 대부분 미등기임원이고, 임기도 CEO에 비해 짧아 업무의 연속성과 전문성, 영향력을 높이는데 한계도 있다.

구 연구위원은 "CRO의 적정한 임기보장 또는 장기근속을 통해 금유회사가 단기업적 위주로 운영돼 과도한 리스크를 부담하는 것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며 "전략기획, 신규상품 및 비즈니스 승인 등 주요 의사결정에 있어 CRO의 의사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리스크관리가 제대로 이뤄지려면 무엇보다 최고경영자(CEO)의 적극적 의지와 실천이 절실하다. 진동수 금융위원장 역시 "우리나라 은행의 리스크관리는 CEO의 인식과 의지에 달렸다"고 강조한다. 말만 해서는 절대 이뤄지지 않는 게 리스크관리는 말이다.

예컨대 런던의 AIG FP는 2006년 10월 미국 모기지 관련 손실이 10억 달러 발생했는데, AIG CEO는 "미국 주택시장 부실로 손실이 발생할 일은 거의 없다"며 관련 투자를 확대했다. 리먼브러더스는 리스크관리위원회가 1년에 2차례 형식적으로 개최되는 등 CEO에 대한 견제기능이 아예 없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황재균과 이혼설' 지연, 결혼반지 뺐다…3개월 만에 유튜브 복귀
  2. 2 "밥 먹자" 기내식 뜯었다가 "꺄악"…'살아있는' 생쥐 나와 비상 착륙
  3. 3 "당신 아내랑 불륜"…4년치 증거 넘긴 상간남, 왜?
  4. 4 1년 전 문 닫은 동물원서 사육사 시신 발견…옆엔 냄비와 옷이
  5. 5 우리 동네 공인중개사들은 벌써 느꼈다…"집값 4%대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