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끝 건설업..."PF 리스크 금융권 분담해야"

김수홍 MTN기자 | 2010.04.12 17:11
< 앵커멘트 >
성원건설, 남양건설에 이어 대우자동차판매까지... 건설업계 위기는 PF 대출 부담에서 비롯되고 있습니다. 건설사만 위험부담을 안게 되는 기형적인 PF대출 구조에 변화가 필요하단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수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A등급 건설사 남양건설의 기업회생 신청은 건설업계에 충격을 줬습니다.

건설업은 지난해 금융위기를 모면했지만, 단지 위기가 1년 연장됐을 뿐 현재 진행형입니다.

공공부문에서 싸고 입지 좋은 보금자리주택이 등장하면서 미분양에 신음하는 건설업체들의 상황은 지난해보다도 더 나빠졌습니다.

[인터뷰] 김현아 / 건설산업연구원 박사
"서울 도심 가까이서 공급되면서 민간주택공급에 위협을 주고 있는데요. 건설업체들에게 1년 정도 자구노력과 구조조정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준다는 측면에서 보금자리주택을 사전예약이 아닌 일반청약으로 돌리는 것도 방법"


건설사만 과도한 리스크를 지는 PF구조도 이참에 손을 봐야 한단 지적도 나옵니다.

영세 개발업자가 돈 한 푼 없이 시공사의 보증과 금융권의 대출에만 의지해 주택을 짓다가 개발업자가 도산하면 건설사와 금융권 연쇄부실을 부릅니다.

이 때문에 개발사업자의 초기자본 확충이 필요하단 겁니다.

금융권도 시공사 신용등급만 보고 PF대출을 하는 관행에서 벗어나 정확히 사업성을 평가한 뒤 돈을 빌려줘야 하고, 장기적으론 지분참여 등으로 금융회사도 리스크를 분담해야 한단 지적입니다.

[인터뷰] 강민석 / 메리츠종금증권 수석연구원
"PF가 기본적으로 참여자들간에 리스크를 분담돼야 하는 구조인데 현재는 전적으로 시공사가 책임지는 구조여서 이를 완화해야 합니다. 유한회사, 합병회사, PFV 등이 이뤄져서 초기 자본을 확충할 수 있는 길이 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긴급처방으로 위기를 넘겼다 1년 만에 다시 위기를 맞은 건설업계에 단기적 처방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부실업체의 구조조정과 사업구조 선진화가 필요해 보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김수홍입니다.

베스트 클릭

  1. 1 이 순대 한접시에 1만원?…두번은 찾지 않을 여행지 '한국' [남기자의 체헐리즘]
  2. 2 김호중 콘서트 취소하려니 수수료 10만원…"양심있냐" 팬들 분노
  3. 3 생활고 호소하던 김호중… 트롯 전향 4년만 '3억대 벤틀리' 뺑소니
  4. 4 "사람 안 바뀐다"…김호중 과거 불법도박·데이트폭력 재조명
  5. 5 '120억' 장윤정 아파트, 누가 샀나 했더니…30대가 전액 현금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