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히 최고 관심사는 금리 인상 여부다.
김 총재가 정부와의 소통을 중시하면서 출구전략의 시기상조를 공공연히 밝혀왔다는 점에서 금리 동결이 확실시 된다. 특히 지난 5일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과의 조찬 회동에서도 이 같은 분위기를 엿 볼 수 있다. 윤 장관이 이날 “중앙은행과 정부가 잘 공조하기로 완전히 인식을 같이 했다”고 밝혀 정부의 조기금리 인상 반대 논리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이에 따라 관심의 초점은 금리 인상 여부에서 김 총재가 출구전략과 관련해 시장에 어떤 시그널을 줄 지로 옮겨가고 있다. 김 총재가 금통위 후 통화정책방향 간담회를 통해 시장에 던진 발언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향후 출구전략 핵심인 금리 인상 시점을 가늠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김 총재는 취임 이 후 인터뷰에서 적당한 시점에서의 출구전략에 대해서는 공감했지만 "모든 것은 동시다발적이 아닌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따라서 소비자 물가지수나 GDP등 주요경제지표에 가시적인 변화가 있을 때까지 출구정책은 유보될 가능성이 높다. 금리동결이 꽤 길어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금융위기 후 경제성장률을 이전 궤도에 올려놔야 하는 정부 입장에선 6월 선거와 11월 G20 정상회의 등 굵직한 정치적 이슈를 앞두고 금리 인상을 원치 않은 상황이어서 금리 인상 시점은 최소한 11월 이후가 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김 총재가 통화정책방향 발표에서 구사할 수사적 표현도 관심 대상이다. 정부와의 정책공조와 한은의 독립성 사이에서 외줄타기를 해야 하는 김 총재 입장에선 둘 중 어느 쪽에도 치우쳐 보이지 않는 테크닉을 발휘해야 하는 상황이다.
김 총재는 지나 3월 29일 귀국 일성으로 "시장이 생각하는 나와 실제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김 총재가 친정부 인사란 시장의 선입견을 불식시키기 위해 한은의 독립성에 방점을 찍는 전략적 수사를 구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 시장 전문가는 "김 총재가 당분간 금리 인상에 반대하는 정부와 보조를 맞출 것으로 보인다"며 "김 총재가 첫 통화정책방향 발표에선 취임 초기란 점을 들어 발언을 극히 자제하는 방법으로 시장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