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도 못피한 부동산 침체

머니투데이 임지수 기자 | 2010.04.02 09:00

[고위공직자 재산 공개]증시활황 영향으로 펀드·증권 수익 증가

고위공직자들의 주요 재테크 수단으로 꼽히던 부동산이 지난해에는 재산 감소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발표한 고위공직자 재산변동 사항에 따르면 공개대상자 1851명 중 42%인 774명이 재산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재산감소 요인으로 부동산 등 공시가격 하락을 꼽았다.

공직자들의 이번 재산신고는 2009년 1월1일 공시가를 기준으로 했으나 공시가가 전년대비 하락하면서 재산 감소로 이어졌다. 2008년 한해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부동산 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토지 공시지가는 평균 0.8%, 주택 공시가격은 평균 4.1% 하락했다.

실제 중앙부처 고위공직자 중에서 재산총액 감소 상위 10위명 가운데 4명이 부동산 가격 하락을 재산 감소의 이유로 꼽았다. 청와대 비서관 중 최대 부호로 꼽히는 김은혜 대변인의 경우 재산을 78억4028만원으로 신고해 전년보다 14억922만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편 소유의 서울 강남구 대치동 건물 표준지가가 전년대비 18억7184만원 떨어졌기 때문이다.


민유성 산은금융지주 대표 역시 서울 강남구 대치동 미도아파트 평가액이 크게 하락하면서 재산이 한해동안 11억706만원 줄어들었다. 이영근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과 권영건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역시 건물 공시가격 하락으로 재산 줄었다고 신고했다.

반면 지난해 1년간 코스피지수가 45% 급등하는 등 증시가 활황을 보이면서 펀드·증권 수익이 늘어난 공직자들이 많았다. 김쌍수 한국전력공사 사장의 경우 토지와 아파트 가격은 하락했으나 주식 평가액이 17억원 이상 크게 늘면서 이를 상쇄, 재산총액이 108억873만원으로 전년대비 15억6425만원 늘었다고 밝혔다.

이외 재산총액 증가 10위권에 이름을 올린 김기수 행정안전부 전직대통령 비서관, 문태영 외교통상부 본부대사, 류철호 한국도로공사 사장, 정승일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 등도 주식 및 펀드 평가액 증가로 재산이 늘었다고 신고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오물만 들어 있는게 아니었어?...북한이 띄운 풍선 만지면 벌어지는 일
  2. 2 "비싸도 살 수만 있다면" 15시간 줄 섰다…뉴욕 한복판에 수백명 우르르[뉴스속오늘]
  3. 3 '사생활 논란' 허웅 측, 故이선균 언급하더니 "사과드린다"
  4. 4 '10조 자산가' 서정진 "부자라고? 만져본 적 없는 돈…난 평범한 사람"
  5. 5 마이클 잭슨, 사망 당시 '7000억' 빚더미…"장난감에 큰 돈 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