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 8%" 저축銀 후순위채 '위험한 매력'

머니투데이 오수현 기자 | 2010.03.17 20:35

수익률 예ㆍ적금 2배... 자산건전성 우려 부각 '신중해야'

대형저축은행들이 속속 후순위채권을 발행하며 자본확충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저축은행 업계 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스(PF) 발 위기가 말끔히 가시지 않고 있어 후순위채권 투자는 신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투자 전에 발행기관의 재무건전성을 꼼꼼히 따져보는 등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7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솔로몬저축은행은 지난 15일부터 3일간 750억원어치 후순위채 청약을 실시했다. 금리는 연 8.1%에 만기는 5년 1개월이다. 한국저축은행도 오는 22일부터 3일간 총 3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 청약을 접수한다. 수익률은 연 8.1%이며 만기는 5년 3개월이다. 이외 현대스위스저축은행과 제일저축은행도 후순위채 발행을 준비 중이다.

저축은행 후순위채는 수익률이 일반 예·적금의 2배에 이르러, 고수익 재테크 수단의 하나로 개인투자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하지만 저축은행 업계의 자산건전성에 다시 '빨간불'이 켜진 만큼, 저축은행 후순위채에 투자하기 전 발행 저축은행의 자산건전성을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연말 저축은행 업계 PF 연체율은 10.60%로 6개월 새 1.04%포인트 올랐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부동산 PF 대출채권이 부실화되며 한차례 홍역을 치른 지 1년만에 저축은행들은 다시 PF대출을 늘리며 잠재 부실을 키워가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이번에 후순위채를 발행하는 한국저축은행의 무수익여신비율은 지난 연말 7.10%로 6개월 새 1.43%포인트 상승했다. 이미 청약을 완료한 솔로몬저축은행도 같은 기간 0.04%포인트 오른 6.93%다.


게다가 저축은행들이 올 연말까지 일반대출채권에 비해 강화된 적립 기준의 부동산 PF대출 충당금을 적립해야 하는 점도 불안요인 중 하나다. 충당금 적립 부담이 커진 만큼 이익 규모는 줄 수밖에 없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하락하는 등 재무건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탓이다.

최대 5000만원까지 예금자보호가 가능한 예·적금 상품과 달리, 후순위채의 경우 발행기관이 망할 경우 말 그대로 투자금액을 모조리 날릴 수 있다는 점도 투자자들의 유념해야 하는 대목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연말 파산한 전일저축은행이 발행한 후순위채 중 162억원이 아직 만기가 도래하지 않았다. 결국 이 저축은행의 후순위채에 투자했던 투자자들은 남은 이자와 원금을 지급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후순위채를 중심으로 한 자본확충 방식이 결국 저축은행 업계에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후순위채의 조달비용이 연 8%대로 높아 이자비용부담이 상당한 탓이다. 따라서 금융감독 당국에서 저축은행들이 대주주 출자나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본을 확충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올해 저축은행 업계가 상환해야 하는 후순위채 규모가 약 600억원에 이르는데, BIS 비율 등을 유지하기 위해선 또다시 고금리 후순위채권을 발행할 수밖에 없다"면서 "후순위채 발행이 안정적인 자본확충 수단이 될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얼굴 알려진 배우"…성폭행 후 속옷 차림으로 빌던 선생님의 정체
  2. 2 김호중 "돈도 없는 XX놈"…건물주 용역과 몸싸움, 3년전 무슨 일
  3. 3 박세리, 부친 빚 대신 갚느라 힘들었는데…'증여세' 최소 50억 더 내라고?
  4. 4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
  5. 5 매년 韓대통령에게 오던 2000통 편지, 한통도 안온다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