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전쟁터 아프리카서 中日'원조전쟁'

머니투데이 이학렬 기자 | 2009.12.03 09:12

[당당똑똑코리아]

선진국이 저개발국에 공적개발원조(ODA)를 제공하는 것은 인도주의라는 명분 때문이다. 하지만 명분을 통해 선진국이 얻는 실리는 너무나 많다.

경제규모 대비 가장 많은 ODA를 제공하는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등 북유럽 3개국은 '인도주의 초강대국'이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키웠다. 외교역량과 국가경쟁력이 높아진 것은 당연한 결과다.

예컨대 베트남에 대규모 원조를 해온 덴마크는 온실가스 배출규제와 관련한 '코펜하겐 기후협약' 추진과정에서 베트남의 적극적인 지지를 손쉽게 얻어냈다.

중국과 일본은 ODA를 통해 자원 확보라는 실리를 챙기고 있다. 일본은 1960년대부터 수출시장을 넓히고 원자재를 안정적으로 조달하려는 목적으로 아시아 원조에 적극적이었다. 한국도 일본의 원조 대상 중 하나였다.

아시아 국가들이 어느 정도 개발되자 일본은 아프리카로 눈을 돌렸다. 일본은 1993년부터 도쿄아프리카개발회의(TICAD)를 창설해 아프리카 개발 논의를 주도하고 있다.

5년마다 일본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일본은 다양한 자원외교를 펼치고 있다. 지난해 5월 요코하마에서 열렸던 회의에서 일본은 5년내 40억달러 규모의 차관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해 아프리카의 인심을 얻는데 성공했다.


아프리카에 대한 중국의 관심도 뜨겁다. 중국은 지난 2006년 11월 아프리카 8개국 정상을 베이징으로 초청해 선물공세를 펼쳤다. '아프리카 개발포럼'을 열고 특혜차관과 개발기금 등 90억달러 지원을 약속한 것이다.

원자바오 총리가 2006년 6월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방문했을 때 "방직물의 남아공 수출을 제한한다"고 발표한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일화다. 음람보 응쿠카 부통령이 "중국의 남아공에 대한 방직물 수출이 지나치게 늘고 있다"고 불만을 털어놓자 원 총리는 하룻만에 수출 제한은 선언한 것이다.

중국이 이처럼 파격적인 대우를 하는 것은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중국은 나이지리아, 앙골라, 수단에만 87억달러의 석유 개발비를 투자했다. 이를 통해 중국은 아프리카의 많은 광구의 채굴권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실리를 챙기려는 움직임에 대한 부작용도 만만찮다. 대규모 원조가 부패한 정권으로 흘러들어가면서 원조의 효과가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중국이 아프리카에 막대한 규모의 원조를 하면서 아프리카가 '제2의 중국'으로 불리고 있지만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네 남편이 나 사랑한대" 친구의 말…두 달 만에 끝난 '불같은' 사랑 [이혼챗봇]
  2. 2 바람만 100번 피운 남편…이혼 말고 졸혼하자더니 되레 아내 불륜녀 만든 사연
  3. 3 20대女, 하루 평균 50명 '이 병'으로 병원에…4050은 더 많다고?
  4. 4 '6만원→1만6천원' 주가 뚝…잘나가던 이 회사에 무슨 일이
  5. 5 밤중 무단횡단하다 오토바이와 충돌 "700만원 달라"... "억울하다"는 운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