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칼럼]어떤 기업이 녹색기업인가

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 | 2009.11.04 14:16

수익성과 위험성 사이의 밸런스 맞춰야

요즘 녹색이 대유행이다. 어딜 가도 녹색이야기는 이미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한다. 이런 녹색열풍의 진원지는 청와대다. 작년 8월15일 대통령이 광복절 축사에서 새로운 국가비전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천명한 후 대한민국의 코드는 온통 '그린'이 되었다.

물론 그는 훌륭한 드라이브를 걸었다. 잘한 일이고 환영할 만한 일이다. 다만 '녹색과 성장'이라는 모순된 조어(造語)를 여하히 플러스섬(Plus Sum)으로 승화시키느냐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의 과제다.

이 과제를 잘 풀기 위해선 역시 돈의 역할이 중요하다. 지난 금융위기에서도 경험했듯이 돈이 탐욕스러워지면 경제도 탐욕스러워진다. 돈이 똑똑해지면 경제와 산업도 똑똑해진다. 같은 이치로 돈이 녹색을 제대로 이해할 때 진정한 그린머니가 만들어지고 그러한 돈들이 녹색성장을 효율적으로 견인해 나갈 것이다.

여기서 녹색투자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녹색투자란 '환경'으로 돈을 벌거나 지키는 것이다. '돈을 번다'는 것은 친환경, 저탄소 등과 관련된 기술이나 솔루션 등에 투자해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킨다'는 것은 투자대상 기업의 기술 외에도 환경경영 관리능력의 전반을 신중히 고려해 투자함으로써 그로 인해 발생할지 모를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녹색투자는 이 두 마리 토끼를 함께 쫓아야 한다. 즉 투자수익의 극대화와 투자위험의 최소화가 그것이다.

그런데 최근 녹색성장 담론은 지나치게 수익 극대화만 쫓는 느낌이다. 이는 어찌 보면 투자원칙의 기본을 무시한 것이다. 위험을 도외시하고 기회를 강조하면 자칫 탐욕의 기제가 발동하고 그것은 또 다른 버블을 양산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나는 지난 20년 동안 우리증권시장에서 일어났던 버블의 역사를 아주 가까이서 지켜봤다. 그 버블의 한복판에는 늘 녹색 관련 기술과 기업들이 있었다.

대기오염이 화두였을 당시에는 매연저감장치 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주가가 천정부지로 뛰어 올랐다. 폐수, 쓰레기 처리가 이슈였을 땐 폐수처리와 쓰레기 처리기술을 보유한 회사의 주가가 엄청난 대박을 터뜨리기도 했었다.


여기엔 정부도 한 몫 거들었다. 본의는 아닐지라도 정부가 각종 지원에 나서면서 결과적으론 버블의 바람몰이 역할을 한 셈이다.

결과는 십중팔구 붕괴로 이어졌다. 녹색관련 기술들이 던져주는 꿈과 비전이 사업적으로는 성공할 가능성은 매우 낮았다. 따라서 그러한 주식들에 투자한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귀중한 돈을 잃고 통한의 눈물을 흘려야만 했다.

이 모두 돈이 위험과 기회에 대한 균형감각을 잃으면서 탐욕스러워진 까닭이다. 녹색 주식형펀드를 운용하는 기관투자자들은 펀드의 포트폴리오 구성에 앞서 '어떤 기업들이 녹색기업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깊이 생각하며 스스로 답을 찾아야 한다. 스스로 답을 찾기 어려우면 다양한 환경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을 필요가 있다. 그러한 과정 없이 증권회사들이 양산하는 친환경 관련기업 책자를 가이드북으로 삼아 각종 친환경기술 보유기업이 곧 녹색기업이라는 등식에 매달린다면 그들이 운용하는 펀드의 변동성과 위험은 매우 높아질 것이 뻔하다.

그렇다면 어떤 기업이 녹색기업인가? 판별기준은 기준뿐 아니라 가치사슬에도 있다. 녹색관련 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자원채취, 조달, 생산, 기술, 판매, 사용, 폐기 등 전체 가치사슬을 보면서 과연 이 기업이 친환경적이냐 아니냐를 따져야 한다.

환경부하량이 한 예다. 어떤 기업이 녹색기업으로 거론되기 위해선 기업이 자사의 전 가치사슬에서 환경부하량을 얼마나 배출하면서 비용을 외부화하고 있는지, 그것이 결과적으로 기업들에겐 얼마나 잠재적 위험요소가 되는지를 검토해야 한다.

녹색기업의 기회뿐 아니라 위험도 균형 있게 고려할 수 있는 돈이 똑똑하고 건강한 녹색자본이 다. 이러한 돈이 적절한 녹색기업을 찾아 혈액처럼 흘러들어갈 때 녹색기업들은 비로소 녹색과 성장이라는 어울리지 않는 두 단어를 조화롭게 견인해 나갈 것이다.

베스트 클릭

  1. 1 "번개탄 검색"…'선우은숙과 이혼' 유영재, 정신병원 긴급 입원
  2. 2 유영재 정신병원 입원에 선우은숙 '황당'…"법적 절차 그대로 진행"
  3. 3 법원장을 변호사로…조형기, 사체유기에도 '집행유예 감형' 비결
  4. 4 "통장 사진 보내라 해서 보냈는데" 첫출근 전에 잘린 직원…왜?
  5. 5 '개저씨' 취급 방시혁 덕에... 민희진 최소 700억 돈방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