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고 토론회, '폐지' vs '유지' 팽팽

머니투데이 최중혁 기자 | 2009.10.28 07:49
외국어고 문제가 정치권과 교육계의 핫 이슈로 등장했지만 실제로 '외고 수술'로 집행되기까지는 많은 난관이 예상된다. 외고 개선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체로 공감하는 분위기지만 구체적인 방안에 있어서는 의견차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여의도연구소는 27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외고문제 해법 모색을 위한 긴급 간담회'를 열고 각계의 의견수렴에 나섰다.

간담회에는 진수희 여의도연구소 소장, 한나라당 박영아 조전혁 의원, 강성화 고양외고 교장, 박성수 명지고 교장, 이원희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 엄민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변인, 강윤봉 인간교육실현학부모연대 대표 등이 참석했다.

◇외고 개혁 '찬성' 55.5% = 간담회 시작에 앞서 사회를 맡은 진수희 소장은 외고 문제와 관련해 지난 22일 전국 5490명을 대상으로 자체 실시한 여론조사(95% 신뢰수준 오차범위 ±1.28%)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77.8%는 외고가 설립 취지와 다르게 운영되고 있다고 답했으며 설립 취지대로 운영되고 있다는 응답률은 9.3%에 그쳤다. 외고의 잘못된 운영이 사교육 증가의 한 원인이라는 의견에 대해서도 공감한다는 응답률이 70.6%에 달한 반면, 공감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18.3%에 머물렀다.

외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고를 다른 형태의 고등학교로 전환하는 것에 대해서는 찬성 55.5%, 반대 26.3%로 찬성 응답률이 두 배 넘게 높았다. 다만 어떤 형태의 고교로 전환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특성화 고교(28.0%)를 제외한 자율형·자립형 사립고(23.3%), 국제고(21.6%), 일반고(22.2%) 등의 응답률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외고 폐지는 또 다른 포퓰리즘" = 이날 간담회에서 외고 교장들과 이원희 교총 회장은 현재의 외고 운영 시스템을 바꾸는 것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나타냈다.

외고연합회 회장을 맡고 있는 강성화 고양외고 교장은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국가 인재를 기르기 위해서는 대학에 보내는 것은 필수"라며 입시 명문 학교로 변질됐다는 비판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어학 등 동일계열 진학률이 25%에 불과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지방에 있는 사람은 모두 지방대에 가라는 논리"라며 또 다른 포퓰리즘이라고 반발했다.

최원호 대원외고 교장도 "사학이라고 해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게 아무 것도 없다. 모든 것을 교과부, 교육청에 사전 승인을 받아 그대로 진행해 왔는데 외고 폐지론이 나와 유감"이라며 억울해 했다.


이원희 교총 회장은 "고교 교육과정이 대학입시에 종속된 것이 외고 문제의 근본 원인이고 외고에 대한 학부모의 수요가 여전히 크다"며 외고 폐지, 또는 특성화고 전환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회장은 "국회에서 싸움이 일어나면 여론의 90% 이상이 국회의원을 없애버리자고 나오지만 그래도 국회의원의 존재 이유는 있는 것 아니냐"면서 "과도하게 문제를 일으키는 학교 1~2개를 과감히 폐지하는 것은 몰라도 외고 시스템을 폐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부분적인 개선책으로는 안되는 지경" = 그러나 엄민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변인은 "외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며 외고 폐지를 강하게 주장했다.

엄 대변인은 "그 동안 외고는 고교등급제 논란, 배타적 사회적 계급 형성, 초중생 과도한 선행학습 유도, 정상 교육과정 파행, 정치권의 특목고 설립 공약 남발 등 수없이 많은 파행을 불러왔다"며 "그럼에도 외고 논란이 계속 반복되고 있는 것은 부분적 개선책으로만 일관해 왔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학생 선발과 관련해서도 "서울 지역 6개 외고 정원 6000여명 가운데 기초수급자 자녀는 딱 10명"이라며 "외고는 그 동안 법이 미비한 것을 악용해 끊임없이 변칙운용해 온 것부터 반성해야 한다"고 외고 교장들을 몰아세웠다.

전교조와 대립각을 세워 온 조전혁 한나라당 의원도 외고 문제에 있어서 만큼은 전교조와 비슷한 견해를 나타냈다. 조 의원은 "민주당 김춘진 의원이 외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95~96%가 과외와 사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사교육 없이 외고에 입학할 수 있다는 것이 맞느냐"고 외고 교장들을 추궁했다.

조 의원은 "교육당국을 탓하기 전에 교사들부터 공교육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무엇을 했는지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한 뒤 "외고 교육이 입시교육으로 획일화 됐으므로 다양한 커리큘럼으로 진정한 수월성 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베스트 클릭

  1. 1 "두 번의 임신 빌미로 금전 요구"…허웅, 전 여친 고소한 이유
  2. 2 감자 캐던 소녀, 큐대 잡더니 '국민영웅' 됐다…"한국은 기회의 땅"[인터뷰]
  3. 3 300만원 든 지갑 돌려준 노숙자, 돈벼락 맞았다…"수천만원 돈쭐"
  4. 4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5. 5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