쫓겨나 차린 회사, 7년만에 상장 신화

머니투데이 박희진 기자 | 2009.09.28 15:50

워크아웃으로 직원 60여명과 에리트베이직 창업..1인당 매출 10억 회사로

"거의 쫓겨나다시피 해서 회사를 차렸어요. 처음엔 섭섭한 마음도 들었지만 언제까지 월급쟁이만 할 수도 없었습니다. 창업 후 죽기 살기로 했어요."

새한의 워크아웃 이후 직원 60여 명을 이끌고 독립해 2002년 종업원 지주회사 '에리트베이직'을 세울 때만 해도 홍종순 대표이사(54,사진)의 머릿속에는 살아남아야 한다는 생각뿐이었다.

"새한이 워크 아웃되면서 당시 의류사업이 제일 골치였습니다. 학생복 사업은 대리점을 끼고 있다 보니 문제를 풀기가 쉽지 않았죠. 매각도 추진했지만 사려는 곳이 없었어요. "

결국 당시 의류사업부 본부장(상무)을 겸직하고 있던 홍 대표가 기존 직원들과 함께 회사를 세웠다. 주변에서 모두 창업을 반대할 때 홍 대표를 움직인 것은 다름 아닌 직원들이었다.

"수 십 년을 동거 동락해 온 직원들이 갈 데가 없어 다른 곳에서 기웃거릴 걸 생각하니 마음이 너무 아팠어요. 그래서 제가 회사를 맡아서 하겠다고 했어요. 하지만 정말 사업은 아무나 하는 게 아니더군요. 생명같이 다뤄야하는 게 사업이란 걸 알게 됐습니다."

홍 대표는 창업 7년 만에 에리트베이직을 1인당 매출이 10억 원에 달하는 '알토란' 회사로 키워냈다. 에리트베이직의 2009년 6월 결산기준 매출액은 974억원, 종업원수는 정규직으로 99명이다. 28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는 성과도 일궜다.


홍 대표가 현재까지 성공스토리에 만족하지 않고 굳이 상장에 나선 이유는 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사업 다각화가 필요한 과제였기 때문이다. 에리트베이직은 학생복 부문 매출이 전체의 73%에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학생복만 가지고 회사를 성장시키면 5년 내 망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경쟁사는 SK네트웍스(스마트), 대원(아이비클럽) 등 자본력이 있는 대기업인데 우리는 돈이 없어요. 특히 급여는 오르고 물가 오르면 경비도 계속 오를 텐데 뭔가 새로운 것을 키워야 살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에리트베이직은 학생복 '엘리트'(elite)의 학생사업본부, 스포츠웨어 '리클라이브'(LIKLIV)의 패션사업본부, '윌비'(WILL BE)의 유니폼사업본부 등 3개 사업부로 구성돼 있다. 홍 대표가 신사업으로 주목하고 있는 분야는 바로 '패션'이다.

"신사업을 하려면 돈을 투자해야 하는데 학생복으로 번 돈으로 패션에 쓰려니 도저히 간이 떨려서 못하겠더라구요(웃음). 상장하면 간섭도 많고 신경 쓸 일도 많겠지만 기업의 연속성을 위해 상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언제까지 사업을 할지 모르지만 앞으로도 지속할 수 있는 기업을 만들어나갈 것이며 종업원 지주 회사의 체제도 변함이 없을 것입니다."

홍 대표는 오는 2012년까지 에리트베이직 매출을 1436억원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특히 국산 스포츠브랜드 리클라이브를 중심으로 패션 사업부의 매출 비중을 현재의 16%에서 2012년 25%까지 확대해 패션전문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2. 2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3. 3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4. 4 "허웅이 낙태 강요…두 번째 임신은 강제적 성관계 때문" 전 여친 주장
  5. 5 "손흥민 이미지…20억 안부른 게 다행" 손웅정 고소 부모 녹취록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