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러다임시프트]'통합'으로가는 아시아(中)

안정준 기자 | 2009.09.22 15:56

편집자주 | 금융위기는 세계 경제 질서에 일대 변혁을 이끌고 있다. 그 것이 강요되었든 시대적 흐름이든 실패한 구질서에 대한 반성은 새로운 질서의 태동을 요구한다. 위기이후 사회 전반에서 걸쳐 진행되는 '패러다임 시프트'를 3회에 걸쳐 짚어본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년간 상대적으로 커진 아시아의 힘은 지역 경제의 블록화로 거대한 모습을 서서히 드러내고 있다.

인도가 아세안(ASEAN) 10개국 연합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데 이어 중국도 아세안과 FTA의 전단계인 투자협정을 맺으며 아세안, 한국, 중국, 일본, 인도, 호주, 뉴질랜드가 하나의 블록으로 묶이는 거대 자유무역 지대의 탄생은 이미 현실이 됐다.

아시아 지역의 경제 통합 속도는 세계 경제의 침체가 심화되며 더욱 빨라지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수출시장의 소비가 위축되자 아시아 경제는 상대적으로 침체의 타격이 적은 중국과 인도 등 역내 시장을 중심으로 급속히 수렴하고 있다. 역내 무역이 아시아 전체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0년대의 37%에서 지난해 57% 수준으로 급증했다.

위기 후 패러다임을 주도할 아시아의 힘은 숫자로 보면 더욱 명확해진다. 이 지역의 인구는 33억, 국내총생산(GDP)은 14조 달러에 육박한다.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세계 최대 경제대국 미국과 같은 수준의 GDP 규모다.

특히 33억 인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과 인도 등 인구 대국의 내수시장은 아직도 미개척의 영역으로 남아있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33억'은 단순한 숫자가 아닌 글로벌 경제의 실질적 원동력이다.


거대 단일시장을 움직일 지역 주요 국가들의 통합에 대한 의지도 명확해 보인다. 54년 만에 정권교체를 이루어낸 일본의 하토야마 정권은 자유무역지대를 넘어 유럽연합(EU) 형식의 강력한 경제 통합을 구상하고 있다. 이를 위해 10년안에 아시아 공동 통화를 마련하고 과거사 문제에 유연한 자세를 견지해 지역 통합을 이끌겠다는 설명이다. 특히 하토야마는 각료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반대와 야스쿠니를 대체할 추도시설 건립을 공약으로 내세울 만큼 경제·문화의 실질적 통합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아시아 경제를 종횡으로 가로지르는 철도망 건설에 전력하고 있다. 중국 남부 윈난성의 쿤밍에서부터 베트남, 라오스, 태국을 거쳐 말레이시아와 싱가폴에 이르는 아시아횡단철도망(TAR)이 완공될 경우 아시아 지역의 경제적 통합은 한층 가속화된다. 중국은 이 철도망 건설 비용의 대부분을 부담하고 있다. 인도는 지난 7월 아세안과 FTA 협정을 마무리하며 전체 수출입 품목 가운데 80%의 관세를 철폐키로 했으며 한국도 동아시아 경제 공동체 건설에 적극적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아시아 경제의 실질적 통합이 생각만큼 수월히 이루어지기는 힘들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주요 경제국가들간의 정치·경제적 경쟁도 통합을 향한 움직임 못지 않게 강하며 아직 패권을 유지하고 있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 경제권과의 관계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역 경제를 하나로 묶을 공동 통화가 아직까지는 없다는 점도 부담이다. 엔화와 위안화는 아직 국제적 위상과 무역 결제의 편의성 측면에서 달러를 대체하기 힘들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노동교화형은 커녕…'신유빈과 셀카' 북한 탁구 선수들 '깜짝근황'
  2. 2 "바닥엔 바퀴벌레 수천마리…죽은 개들 쏟아져" 가정집서 무슨 일이
  3. 3 '황재균과 이혼설' 지연, 결혼반지 뺐다…3개월 만에 유튜브 복귀
  4. 4 '日 노벨상 산실' 수석과학자…'다 버리고' 한국행 택한 까닭은
  5. 5 "곽튜브가 친구 물건 훔쳐" 학폭 이유 반전(?)…동창 폭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