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어쩌나…환율.펀드 속 中風은

머니투데이 배성민 기자, 박성희 기자 | 2009.08.22 11:33
‘세계의 공장‘ 중국이 최근 들어 제조업뿐만 아니라 국내 금융시장에서도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전에는 중국 효과가 중국의 경제 성장에 따라 혜택을 보는 물류, 철강, 조선, 해운 등 제조업에 국한된다는 해석이 많았지만 최근 들어서는 증권, 외환, 자산운용 등 국내 금융산업에도 맹위를 떨치는 것이다.

◇中 증시 조정 여파는
최근 증권 전문가들의 화두는 중국 증시의 조정에 따른 대응이다. 중국 증시 조정(8월 들어 연중 고점 대비 15% 이상 급락)에 따른 국내 영향의 정도에 대해서는 의견을 달리하지만 중요 고려 요소임은 분명하다.

푸르덴셜투자증권 이영원 전략분석실장은 “수급과 정책 요인, 기대치에 못 미치는 성장속도를 감안하면 중국 증시의 추가 조정 가능성이 있다”며 “국내 증시 등 이머징 마켓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있고 외인의 국내 증시 매수 강도에 나타나는 변화조짐도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중국의 성장 논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소재, 에너지 분야의 조정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중국 증시와 원자재 시장 전반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가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중국 경기와 민감한 해상 운임지수나 원유 등 원자재가 동향의 부진을 글로벌 경기 조기 회복의 지연과 연결짓는 시각도 있다.

삼성증권은 중국 증시가 조정을 받더라도 국내 증시의 주도주가 IT, 자동차, 금융이라는 점에서 코스피-중국 증시 동조화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 증권사 정명지 애널리스트는 “최근 국내 IT, 자동차 기업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바탕으로 주가가 오르고 있기 때문에 중국 증시의 영향력 면에서 이전보다 자유롭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중국 증시 하락에 따른 국내 증시의 과도한 조정은 오히려 매수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낙관론도 꺼냈다.

◇서풍에 휘둘리는 외환시장
중국 증시가 최근 들어 급속히 영향력을 늘리고 있는 분야는 외환시장이다. 최근 외환 전문가들은 뉴욕증시 뿐만 아니라 상하이 증시의 오전장과 오후장 진행상황에 대해 큰 관심을 쏟고 있다. 지난주부터 중국 증시와 유로, 엔 등 주요 통화의 흐름이 거의 100% 동일하게 움직일 정도로 연관성이 커졌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로 지난주 원/달러 환율은 뉴욕 증시(다우지수 등)보다 상하이종합지수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외환시장 개장 초반에는 전날 뉴욕 증시 움직임에 따라 움직였지만 오전 10시30분과 오후 2시(시차 등 고려) 상하이증시의 개장(현지시각 오전장, 오후장)과 지수 추이에 따라 등락이 바뀌는 일도 잦았던 것. 지난 21일에도 원/달러 환율은 3.9원 내리며 출발했지만 마감할 때는 2.8원 올랐다.

미국 경제의 회복이 더딤에 따라 부양책 등 다양한 카드를 지닌 중국의 위상이 커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삼성선물 정미영 팀장은 “글로벌경기가 단기 변곡점에 있는 만큼 단서를 줄 수 있을 만한 곳은 중국 정도”라며 “미국 소비가 살아나느냐가 중국과 중국 증시의 영향력을 차단할 수 있는 방어벽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 중국펀드는 어떻게 할까
중국 증시의 조정과 관련해 고민을 안고 있는 또다른 곳은 운용사와 펀드 판매 금융사(증권사, 은행 등)들이다. 중국 증시의 급등으로 다소나마 진정됐던 중국펀드 장기 투자자들의 환매 여부 문의에 대해 결론을 내줘야 하기 때문.

이들은 일단 현금화가 필요한 시기와 수익률 등에 따라 선별적인 조언을 내놓고 있다. 대우증권 김혜준 애널리스트는 "중국증시가 단기적으로는 지나치게 올랐다 떨어져 반등도 아직 불투명한 만큼 연내 현금화가 필요한 경우 분할환매를 시작하라"고 조언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중국의 성장성에 주목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중국펀드에 투자처가 몰려있거나 당장 돈이 필요하지 않다면 여전히 매력적일 수 있다는 것. 삼성증권은 “미국 등의 경기회복이 가시화되더라도 이는 위기의 정상화 수준 정도인 만큼 앞으로는 성장성이 높은 중국 등 이머징마켓에 관심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중국 펀드와 인플레이션에 대비한 원자재펀드가 여전히 유망하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몸값 124조? 우리가 사줄게"…'반도체 제왕', 어쩌다 인수 매물이 됐나
  2. 2 [단독]울산 연금 92만원 받는데 진도는 43만원…지역별 불균형 심해
  3. 3 점점 사라지는 가을?…"동남아 온 듯" 더운 9월, 내년에도 푹푹 찐다
  4. 4 "주가 미지근? 지금 사두면 올라요"…증권가 '콕' 집은 종목들
  5. 5 '악마의 편집?'…노홍철 비즈니스석 교환 사건 자세히 뜯어보니[팩트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