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관리, 집값 1억원 인하?' 반신반의

머니투데이 김수홍 MTN 기자 | 2009.08.17 17:44
서울시가 재개발, 재건축 비리를 근절시키겠다며 야심차게 내놓은 공공관리자 제도의 본격적인 홍보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설명이 부족해 조합원들은 더 혼란스럽단 반응이 많습니다. 김수홍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서울시가 공공관리자 제도에 대한 릴레이 주민 설명회를 시작했습니다.

불투명한 기존의 재개발 재건축 사업에 불만이 많았던 시민들은 공공이 사업초기 비리를 근절한다는 점에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인터뷰]장옥남 / 성북구 정릉1재건축구역 조합원
"이것 같이 대환영일 수가 없어요. 조합의 비리란 건 누가 목격을 못해서 그렇지 다 있는거예요."

[인터뷰 ]김정웅 / 돈암동 재건축조합원
"나는 조합에서 일해왔지만 이런 제도는 잘 하는 거라고 봅니다. 10년, 15년 걸리던 걸 5년 만에 하면 1억 덕보는 거지."

하지만 공공관리자 제도 도입에 반대하는 일부 주민들의 항의가 이어지면서 설명회장엔 큰 소동이 빚어지기도 했습니다.

내년에나 시행될 제도를 서둘러 발표하면서 오히려 곳곳에서 사업 추진이 더 늦어지고 있다는 겁니다.

[녹취]공청회 참가 시민

"시행도 안된 제도를 왜 발표를 해가지고 주민들을 원망하게 만들어요."

서울시가 112m² 기준으로 조합원 부담을 1억 원씩 낮추겠다고 밝힌 부분에 대해선 여전히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주민들의 혼란은 커지고 있습니다.

[녹취]이일준 / 길음1구역 재개발추진위원
"30평대 1억 원을 낮추겠다는 그 1억원 하나에 우리 주민들 모두 솔깃했습니다. 그런데 이 자리에서도 구체적인 대안이 없고..."

[녹취]권창주 / 서울시 공공관리과장
"추진위 구성 때부터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하고, 또 일부 공사비에서 내역을 중심으로 지출하다 보니까 허수가 없잖습니까?"

서울 성수지구를 비롯해 7개 지역이 공공관리 시범지역으로 지정된 상태며, 서울시는 각 구별로 1개씩 즉 25개까지 시범지구를 확대한다는 구상입니다.

설명회는 25개구를 5개 권역으로 나눠 이달 말까지 계속됩니다.

이 설명회로 주민들의 궁금증을 서울시가 얼마나 해소시킬 수 있을지 관심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김수홍입니다.

베스트 클릭

  1. 1 23억 갚으면 '10억 빚' 또…"더는 못 갚아줘" 박세리, 이유 있었다
  2. 2 "이게 살짝 난 상처인가요?" 아들 얼굴 본 아버지 '분통'
  3. 3 산소마스크 내려오고 승객들 코피 쏟고…대만행 대한항공편 긴급 회항
  4. 4 '처형 강제추행' 혐의 유영재, 검찰 송치…선우은숙 측 녹취록 인정
  5. 5 절반이나 남아 생산라인 세웠다…재고 쌓인 전기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