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9월 기후정상회의 참가한다

머니투데이 황국상 기자 | 2009.08.11 17:27
이명박 대통령이 다음달 22일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세계 기후변화 정상회의에 참가한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11일 서울 세종로 정부종합청사에서 한승수 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9월 22일 정상회의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기후정상회의가 될 것"이라며 "이 대통령이 이 자리에 참석해주기로 약속해 매우 기분이 좋다"고 밝혔다.

반 총장은 한 총리가 "반 총장이 새천년개발목표(MDGs), 기후변화 등 인류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데 많은 한국인들이 성원을 보내고 있다"고 말한 데 대해 이같이 답했다.

반 총장은 지난 2007년에도 기후변화 고위급 회의를 주재했다. 당시 유엔 기후변화 고위급회의에는 국가원수 80여명 등 150개국 정부 지도자들이 참석했다. 지금까지 기후 이슈로 열린 고위급 회의 중 최대 규모였다. 한국에선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참석했다.

'미래는 우리 손에(The Future in Our Hands)'라는 주제로 열린 이 회의에서 세계 지도자들은 기후변화의 돌파구 마련에 정치적 의지가 필요하다는데 합의했다.


교토체제에 반대하던 미국 정부까지도 기후변화 이슈에 대응하고 나섰다.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은 고위급 회의기간 중 유엔 각국 정상 만찬에 참석해 지구 온난화 방지대책을 촉구하는 연설을 했다.

한편 전 세계 주요 산업국가의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규정하는 교토의정서는 2012년 만료된다. 이에 국제 사회는 올 12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에서 교토의정서의 뒤를 잇는 기후협약을 이끌어내기로 약속한 바 있다.

하지만 미국·유럽연합(EU)·일본 등 선진국 진영은 개도국이 온실가스 배출증가 속도가 빠른 만큼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중국·인도 등 개도국 진영은 선진국이 과거 수 세기에 걸쳐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한 만큼 더 강한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지켜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해 7월 일본 토야코에서 열린 주요8개국(G8) 회의를 비롯한 수차례의 국제회의에서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중간자적 입장에서 가교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말해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은 바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2. 2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3. 3 "허웅이 낙태 강요…두 번째 임신은 강제적 성관계 때문" 전 여친 주장
  4. 4 "손흥민 이미지…20억 안부른 게 다행" 손웅정 고소 부모 녹취록 나왔다
  5. 5 강제로 키스마크 남겼다?…피겨 이해인, 성추행 피해자 문자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