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소호대출 부실에 떤다

더벨 김현동 기자 | 2009.08.04 10:25

연체율 시중은행 최고

이 기사는 07월31일(11:41)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하나은행이 2∼3년 전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소호(소규모 개인사업자·SOHO) 대출이 잠재 부실 때문에 골칫거리로 전락했다.

하나은행은 작년 초 소호본부를 해체하는 등 대출을 자제하며 부실 확대 방지에 나섰지만 글로벌 경기침체와 맞물려 연체규모가 줄지 않고 있다.

31일 은행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의 올 6월말 현재 소호 대출 연체율은 2.20%(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로 전 분기(3.02%) 대비 0.82%포인트나 하락했다.

비교적 큰 폭의 하락에도 하나은행의 소호 대출 연체율은 다른 시중은행에 비해 100bp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국민은행의 6월말 현재 소호 대출 연체율이 신한은행의 연체율은 0.97%이다. 아직 2분기 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우리은행의 경우 1.24%(3월말 기준). 하나은행의 소호 대출 연체율은 2007년 이후 대기업·가계·카드 부문에서 가장 높은 연체율을 기록 중이다.




1분기 3100억원에 이르던 연체금액(1개월 이상 기준)이 2분기에 2230억원으로 감소했지만, 2006∼2007년에 비해서는 2배 이상 많은 규모다.

소호 대출이 경기 변동에 극도로 취약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민간소비가 살아나지 않을 경우 신규 연체가 늘어날 가능성도 높다.

시중은행 여신심사부 관계자는 "영세사업자 대출은 일반 기업여신과 달리 대출 후 1년이 지나면 만기연장 과정에서 연체가 많이 발생한다"며 "영세사업자들의 경우 경기 영향을 가장 많이 받기 때문에 향후 부실화될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
  2. 2 "두 번의 임신 빌미로 금전 요구"…허웅, 전 여친 고소한 이유
  3. 3 감자 캐던 소녀, 큐대 잡더니 '국민영웅' 됐다…"한국은 기회의 땅"[인터뷰]
  4. 4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5. 5 "바퀴 없으니 잘 닦여" 주부들 입소문…물걸레 로봇청소기 1위 기업의 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