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영기 회장 놓고 당국 고심, 왜

머니투데이 김익태 기자, 반준환 기자 | 2009.07.20 18:06

우리은행 파생상품 투자손실 추가 제재여부 장고 거듭

예금보험공사가 우리은행의 파생상품 투자손실에 대한 전·현직 경영진의 징계 여부를 놓고 장고를 거듭하고 있다. 관심이 황영기 전 회장(KB금융지주 회장)의 중징계 여부에 쏠리지만 재임 중 경영성과를 배제한 채 전대미문의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손실 책임만 물을 수 있느냐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예보 "징계 결정 못했다"= 예보는 20일 우리은행의 지난해 4분기 경영계획이행약정(MOU) 미달과 관련해 "현재까지 확정된 내용이 없고, 금융위원회 등에 보고한 사실도 없다"고 밝혔다. 이날 일부 언론이 황 전 회장에 대한 중징계가 확정된 것처럼 보도한 것에 따른 해명이었다. 예보는 그간 황 전 회장의 징계 관련 보도에 공식적인 대응을 삼가왔다.

우리은행은 황 회장 시절 투자했던 부채담보부증권(CDO)과 신용디폴트스와프(CDS)에서 1조6000억원의 투자손실을 보았다. 이로 인해 지난해 3분기와 4분기 예보와 맺은 MOU를 달성하지 못했다.

예보 관계자는 "독자적인 판단으로 구체적인 방향을 얘기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예보위원회 멤버인 기획재정부와 금융위 등의 의견을 종합해야 한다는 취지로, 그만큼 이 문제가 부담스럽다는 뜻이다.

◇예보의 고민은= 우리은행의 전·현직 최고경영자(CEO) 5명 중 누구에게 책임을 묻느냐다. 황 전 회장은 투자를 단행했고, 후임인 박병원 전 회장과 박해춘 전 행장(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손실 확대를 막지 못했다. 이팔성 회장과 이종휘 행장에게 책임을 떠넘기기도 어렵다.

황 전 회장 측은 재임 당시 투자손실이 없었고, 우리은행의 순익이 크게 개선됐다고 강조한다. 실제 재임 3년간 연평균 순익은 1조6000억원 가량으로 재임 전 같은 기간 9400억여원보다 80% 가까이 증가했다. 투자손실을 감안해도 순익이 1조3000억원 가량을 기록했다. 주가도 우리금융지주 역사상 가장 높았다.

특히 2007년 3월 퇴임 며칠 전에도 투자가 이뤄졌고, 4~5월에도 투자가 이어졌다고 설명한다. 황 전 회장의 지시 없이 시스템적으로 투자가 이뤄졌다는 방증이다. 더구나 국제적으로 관련 상품 투자의 정점이 5월이었고, 그 이후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이 손절매에 나섰다고 한다.


예보 관계자는 그러나 "우리은행의 경영성적이 꺾인 데 황 전 회장의 책임이 크다고 봐야한다"며 "투자 리스크 관리체제를 만들었어야 했다는 점에서 징계가 불가피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보는 관점이 다르다"= 예보위 결정이 늦어지는 것은 최근 이뤄진 우리은행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종합검사와 무관치 않다. 예보위는 지난해 4월 투자손실과 관련해 당시 홍대희 투자은행(IB) 담당 부행장에게 1개월 정직처분을 내렸으나 황 전 회장에게는 성과급 차감 조치만 했다.

예보는 이번 금감원 검사에서 황 전 회장에 대한 책임 소재가 더 확인되면 추가 제재의 근거로 삼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금감원 관계자는 그러나 "예보와 보는 관점이 다르다"고 말했다. 예보는 대주주여서 손실의 책임 소재에 민감하지만, 감독당국의 잣대는 건전성이다. 투자 절차를 지키고, 리스크 관리를 제대로 했다면 징계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금감원은 삼성 차명계좌 조성과 관련해 황 회장에게 '주의적 경고'를 내렸지만, 행장 시절 투자손실에 대해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았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네 남편이 나 사랑한대" 친구의 말…두 달 만에 끝난 '불같은' 사랑 [이혼챗봇]
  2. 2 '6만원→1만6천원' 주가 뚝…잘나가던 이 회사에 무슨 일이
  3. 3 20대女, 하루 평균 50명 '이 병'으로 병원에…4050은 더 많다고?
  4. 4 바람만 100번 피운 남편…이혼 말고 졸혼하자더니 되레 아내 불륜녀 만든 사연
  5. 5 "바닥엔 바퀴벌레 수천마리…죽은 개들 쏟아져" 가정집서 무슨 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