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부양책 역효과 오나?"

머니투데이 안정준 기자 | 2009.06.14 15:00

신규대출 급증으로 인한 인플레 부담…수출 감소로 제조업 경기 확장 효과도 반감

중국 경제가 대규모 내수부양책으로 인한 역효과에 곧 직면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점증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4일 지난 주 발표된 산업생산과 소매판매 지표는 개선됐지만 신규대출이 이미 올해 정부 목표치를 넘어서며 중국내 인플레 압박이 가중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 같은 분석은 최근 유가 상승과 국채 수익률 급등으로 침체 후 인플레 우려가 제기되는 미국 경제와도 맥을 같이한다. 전일 마무리된 주요8개국(G8) 재무장관회담에서도 침체 후 인플레 대비에 관한 대책마련이 화두로 제기됐다.

인플레가 글로벌 경제의 새로운 위험요인이 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특히 지난해 말부터 내수부양에 무려 4조위안을 투입한 중국의 걱정은 한층 더 크다.

지난 주 발표된 중국의 5월 신규대출은 전년 동기에 비해 2배 늘어난 6645억위안을 기록했다. 올해 1~5월 누적 신규대출은 5조8000억위안으로 올해 정부의 신규대출 목표치인 5조위안을 이미 넘어선 상태다.

올 초부터 급격한 대출 증가가 향후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가운데 최근 중국 금융당국 관계자들 사이에서도 대출 급증으로 인한 인플레 우려에 관한 말들이 오가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더욱이 신규대출 증가는 은행 실적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돼 경제 전반에 더욱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올들어 신규 대출이 급증한 것은 중국 정부가 상업은행들을 대규모 경기 부양책의 '금고'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정부 주도의 대출로 인한 은행권의 신용 비용 증가는 은행 순이익 감소로 반영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올 1분기 중국 3대 상업은행 가운데 공상은행의 순익만 전년동기 대비 6.16% 증가했을 뿐 건설은행과 중국은행의 순익은 각각 18.25%, 14.4% 급감했다.

제조업과 산업 생산의 회복은 대규모 내수부양책의 최대 성과로 평가받고 있지만 이 역시 수출 감소세 지속으로 향후 효과가 반감될 우려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 12일 발표된 5월 산업생산은 지난해 같은 시기 대비 8.9% 증가했다. 이는 앞서 블룸버그 통신의 전문가들이 발표한 예상치인 7.7% 증가를 큰 폭 상회하는 결과다. 제조업 경기의 바로미터인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지난 5월 53.1을 기록, 3개월 연속 확장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수출 감소추세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11일 발표된 5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6.4% 줄어들어 7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런 가운데 소비자들은 향후 물가 상승 부담이 한층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중국 인민은행이 소비자들을 상대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전체 43.3%가 올 2분기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지난 1분기 조사의 26.1%보다 큰 폭 상승한 결과다.

베스트 클릭

  1. 1 "몸값 124조? 우리가 사줄게"…'반도체 제왕', 어쩌다 인수 매물이 됐나
  2. 2 [단독]울산 연금 92만원 받는데 진도는 43만원…지역별 불균형 심해
  3. 3 점점 사라지는 가을?…"동남아 온 듯" 더운 9월, 내년에도 푹푹 찐다
  4. 4 "주가 미지근? 지금 사두면 올라요"…증권가 '콕' 집은 종목들
  5. 5 '악마의 편집?'…노홍철 비즈니스석 교환 사건 자세히 뜯어보니[팩트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