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GM 파산, 득일까? 실일까?

머니투데이 조철희 기자 | 2009.05.29 07:18
제너럴모터스(GM)의 파산은 이제 시간상의 문제일 뿐이다. 다만 업계 전반에 파장을 몰고 올 GM의 파산에서 누가 승자이고, 패자인지 따지는 이해득실 계산만이 큰 관심사가 됐다. 그러나 셈법은 각 주체별로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우선 당사자인 GM 입장에서는 이것저것 다 떼어내면 회생을 하더라도 업계에서 번듯이 살아남기 힘들다는 판단이다. 파산보호신청시 일부 브랜드의 매각이나 사업부 정리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가뜩이나 줄어든 시장점유율이 더욱 추락해 북미시장에서마저 업계 3위로 밀려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또 회사에 자신들을 베팅했던 채권단과 주주들도 큰 '실'만을 강조한다. 정부의 구조조정안대로 따르면 270억달러 규모의 채권을 가진 채권단에게 돌아오는 것은 지분 10%뿐이다. 주주들 몫은 달랑 1%에 불과할 전망이다. 지분 70%를 가지는 정부나, 17.5%를 갖게 되는 노조에 비교해 볼멘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다.

반면 미국 정부로선 '실'보다 '득'이 더 많다. 공식적으로는 파산보호에 들어가면 더 큰 구상을 할 수 있게 된다. 독보적인 주도권을 가지고 GM 회생을 위한 구조조정에 착수할 수 있어 원하는 결과를 이끌어내는데 더 용이해진다. 특히 벌써부터 파산보호 종료가 예측되고 있는 크라이슬러와 함께 큰 틀에서 자동차기업들의 재활을 도모하고, 산업 전반의 진전을 꿈꿀 수 있다.


이같은 셈법은 GM의 '실'과 미국 정부의 '득'이 팽팽히 맞서는 꼴이다. 일종의 '제로섬' 게임처럼 한쪽의 실이 고스란히 다른 한쪽의 득으로 움직여간 듯하다. 그래서 파산보호신청은 논쟁적 사안이 된다. 향후 GM과 자동차산업, 나아가 시장 전반에 뒤따를 결과에 대해 어느 한쪽으로 책임 소재가 돌아가게 될 것이다.

이처럼 판단이 필요한 상황에서 결단의 힘을 실어줄 수 있는 것은 바로 시장이다. 시장의 지향성은 득실을 판단해 낼 기준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일각에선 시장이 GM의 파산으로부터 '득'을 기대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비록 GM의 주가가 급락했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불확실성을 제거해 시장 전반에 큰 도움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이 경우 GM 파산으로 가장 피해를 볼 그룹은 채권단이다. 어쩌면 투자의 기본인 리스크테이킹을 도외시한데 따른 당연한 대가인지도 모른다.

베스트 클릭

  1. 1 노동교화형은 커녕…'신유빈과 셀카' 북한 탁구 선수들 '깜짝근황'
  2. 2 "바닥엔 바퀴벌레 수천마리…죽은 개들 쏟아져" 가정집서 무슨 일이
  3. 3 '황재균과 이혼설' 지연, 결혼반지 뺐다…3개월 만에 유튜브 복귀
  4. 4 "당신 아내랑 불륜"…4년치 증거 넘긴 상간남, 왜?
  5. 5 "밖에 싸움 났어요, 신고 좀"…편의점 알바생들 당한 이 수법[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