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업계 구조조정 선행돼야 정부지원도 효과"

머니투데이 김보형 기자 | 2009.04.10 16:52

이항구 산업연구원 팀장 자동차산업학회 춘계학술세미나서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산업이 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국내 완성차업계는 단기적으로는 비생산적 노사관행 개선과 비용절감을 통한 효율성 제고 노력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정부도 2,3차 중소 부품업체에 대한 유동성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기계산업팀장은 10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한국자동차산업학회 주최로 열린 춘계학술대회에서 주제 발표를 통해 "현대·기아차의 국내외 생산능력은 총 632.5만 대 수준이지만 올해 판매는 지난해(415만대)보다 낮은 380만 대로 예상된다"면서 "이에 따라 국내완성차 업체는 단기적으로 심각한 공급과잉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이어 "국내 자동차산업이 구조조정에 성공할 경우 성장기반이 강화될 수 있으나 실패할 경우 부품산업이 붕괴될 수도 있다"며 "제품과 공정의 혁신 뿐 아니라 완성차업계와 부품업계는 물론이고 자동차 산업과 연관 산업 간의 실질적 상생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중장기적으로 국내외 수요가 회복되더라도 친환경 저연비의 자동차생산능력을 확보하지 못하면 경쟁에서 낙오될 우려도 제기됐다.

현재 일본자동차 업계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과 시장을 장악했으며 독일과 미국 자동차업계는 각각 클린디젤 시장과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와 대체연료자동차시장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국내 업계는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다는 것이다.

정부의 자동차산업 지원과 관련해서 이 연구원은 "정부의 지원은 완성차업체의 구체적인 핵심역랑 강화와 중소 부품업체 지원 및 최적의 인력조정 계획 등을 참고할 필요가 있으며 이 계획안에는 노조도 전환배치나 혼류생산과 같은 유연생산시스템 구축해 동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완성차 업계의 자구적인 구조조정 노력이 선행돼야 정부의 지원이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분석으로 풀이된다.


장기적으로는 '그린 카'제조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완성차, 부품, 전자, 정유업체 등이 참여하는 '그린카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 관련업체가 협력하는 방안도 대안으로 제시됐다.

끝으로 이 연구원은 "토요타가 친환경 주택이나 바이오 관련 산업을 추진하고 있고 혼다는 소형항공기와 로봇사업을 병행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 완성차 업체들도 관련 서비스산업과의 결합을 통한 신수종 사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래야 경기변동에 극히 민감한 자동차산업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이날 춘계학술대회에서 유지수 국민대 교수는 자동차업계도 한 발 먼저 내일을 준비하는 '혁신경영'이 절실하다고 주장했고 김기찬 가톨릭대 교수는 앞으로 진행될 친환경차의 표준화 선점 과정에 주목했다.

끝으로 김성철 고려대 교수는 산업간 융합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자동차 산업도 정보기술(IT)산업과의 연계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고 분석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네 남편이 나 사랑한대" 친구의 말…두 달 만에 끝난 '불같은' 사랑 [이혼챗봇]
  2. 2 '6만원→1만6천원' 주가 뚝…잘나가던 이 회사에 무슨 일이
  3. 3 "바닥엔 바퀴벌레 수천마리…죽은 개들 쏟아져" 가정집서 무슨 일이
  4. 4 노동교화형은 커녕…'신유빈과 셀카' 북한 탁구 선수들 '깜짝근황'
  5. 5 "곽튜브가 친구 물건 훔쳐" 학폭 이유 반전(?)…동창 폭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