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대출 초저금리..."변동형 갈아탈까"

머니투데이 권화순 기자 | 2009.03.16 08:23

다시 갈아타자니 수수료 부담

"다시 변동금리로 갈아타볼까." 2007년 연 7%의 고정금리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K씨는 고민에 빠졌다. 요즘 변동금리가 5% 안팎으로 떨어진 탓이다. 하지만 중도상환수수료가 부담돼 선뜻 갈아타기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10월까지만 해도 상황이 달랐다. 당시 변동형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가 계속 오를 것이라는 예상에서 '변동형'에서 '고정형'으로 갈아탄 고객이 많았다. 이들은 뒤늦게 울상을 짓고 있다.

◇"금리 갈아탈까"=최근 변동금리 대출자들이 한국은행의 금리인하 효과를 체감하고 있다. CD금리는 지난해 12월에 급락했지만 대출금리가 3개월 주기로 변경돼 이제 반영되는 탓이다. 현재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은행별로 3~5%를 기록하고 있다.

신규대출은 90% 이상이 변동금리로 이뤄진다. 은행창구에선 고정금리로 대출받은 고객들의 문의가 빗발친다. 당분간 저금리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가능한 한 유리한 조건에서 금리를 갈아타기 위해서다.

그러나 상환금액의 1~2%에 달하는 중도상환 수수료를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상품 변경에 따른 담보설정비용도 만만찮은 부담요인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고정형과 변동형의 금리 차이가 1.5%포인트를 넘어야 실질적인 이익을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괜히 갈아탔네"=지난해 변동형에서 고정형으로 갈아탄 고객은 뒤늦게 후회하고 있다. 국민은행에서 금리조건을 바꾼 경우는 지난해 11월과 12월 각각 840건과 949건이고 기업은행도 12월에 61건이 있다.

당시 은행들은 중도상환 수수료를 면제해줬다. 정부의 대외채무 지급보증을 받는 대가로 맺은 양해각서(MOU)에 따라 고정금리로 유도하기 위해서였다. 그때 금리를 갈아탄 고객이 다시 변동금리로 바꾸려면 중도상환 수수료를 물어야 한다.

리스크를 줄일 목적으로 금리 상한선과 하한선을 적용하는 옵션부대출도 '찬밥' 신세다. 옵션프리미엄이 종전 0.1%에서 최근 1%까지 오른 탓이다. 고객들은 이만큼 추가로 금리를 내야 한다.

금리 상승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하나은행의 '안전지대론'이 대표적인 예다. 지난해 6월말 1조7290억원(잔액)에서 10월 말 2조669억원으로 늘었으나 지난 11일 2조322억원으로 줄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네 남편이 나 사랑한대" 친구의 말…두 달 만에 끝난 '불같은' 사랑 [이혼챗봇]
  2. 2 노동교화형은 커녕…'신유빈과 셀카' 북한 탁구 선수들 '깜짝근황'
  3. 3 '6만원→1만6천원' 주가 뚝…잘나가던 이 회사에 무슨 일이
  4. 4 "바닥엔 바퀴벌레 수천마리…죽은 개들 쏟아져" 가정집서 무슨 일이
  5. 5 "곽튜브가 친구 물건 훔쳐" 학폭 이유 반전(?)…동창 폭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