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구조조정 코앞, 대상은 누구?

머니투데이 이군호 기자 | 2009.01.02 17:46
금융권이 건설사 퇴출기준을 확정함에 따라 각 건설사들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각 건설사마다 신용평가위험표와 신용위험 세부평가기준에 맞춰 자체적으로 점수를 계산해보며 혹여 C등급(워크아웃)과 D등급(퇴출) 대상에 포함되지나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건설업계와 전문가들은 신용위험평가표와 세부평가기준을 분석한 결과 퇴출대상이 사실상 그룹계열이 아닌 건설주력 단일기업이면서 해외개발 및 지방주택사업 추진으로 미분양이 많은 주택전문 업체들일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평가비중이 40%인 재무항목 평가는 부채비율의 가중치가 2.00으로 가장 높고, 차입금 의존도와 운전자금 비율이 각각 1.50으로 높아 수익성보다는 안정성과 유동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미분양이 많은 건설사일수록 중도금 미납이 늘어나 운전자금 마련을 위해 차입금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고, 부채비율도 높아진다.

평가비중이 60%인 비재무항목 평가는 평균분양률, 사업장위험, PF대출 관련우발채무위험의 가중치가 1.40, 1.40, 1.20이다. 이를 사업포트폴리오와 연계하면 주택비중이 높은 건설사가 주요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특히 '계열사의 지원, 자산매각, 담보 등을 활용한 자금조달가능성' 항목이 2.00으로 가중치가 가장 높다. 최근 구조조정용 자산매각이 봇물을 이루고 있지만 경기 침체로 성과가 없는 점을 감안하면 정부의 미분양아파트 해소대책이 성공하지 못할 경우 그룹 지원을 못 받는 주택주력 단일기업들은 어려움이 가중된다.


100위권 전후의 한 중소건설사 관계자는 "신용위험평가표를 토대로 자체적으로 점수를 계산해봤다"며 "공공공사 위주의 포트폴리오여서 최하 등급을 받지 않겠지만 C등급이 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불안감은 남아있다"고 토로했다.

김민형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그룹계열 건설사가 살아남는데 유리한 것은 채무를 상환해야 하는 금융권의 입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건설주력 단일기업은 경기 침체로 자산 매각도 어려워 진퇴양난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구조조정을 계기로 퇴출기업이 선정되면 이후 후속조치도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즉 입주자 피해와 협력업체의 연쇄부도로 이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준식 GS건설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구조조정이 확정된 건설사로 인해 나도 시장에서 도태될 수 있다는 공포감이 시장에 남아있으면 안 된다"며 "입주 차질이나 하도급업체들의 연쇄부도 등이 없도록 후속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네 남편이 나 사랑한대" 친구의 말…두 달 만에 끝난 '불같은' 사랑 [이혼챗봇]
  2. 2 '6만원→1만6천원' 주가 뚝…잘나가던 이 회사에 무슨 일이
  3. 3 "바닥엔 바퀴벌레 수천마리…죽은 개들 쏟아져" 가정집서 무슨 일이
  4. 4 노동교화형은 커녕…'신유빈과 셀카' 북한 탁구 선수들 '깜짝근황'
  5. 5 "곽튜브가 친구 물건 훔쳐" 학폭 이유 반전(?)…동창 폭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