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극복 키워드]"상생은 필수"

김병근 기자 | 2009.01.01 09:12
위기극복의 화두로 '상생'이 떠오르고 있다. 전대미문의 경제위기, '토털 임팩트'의 폭풍이 몰아칠 때 살아남는 방법은 탄탄한 네트워크 그물을 치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최근 기업경영의 성패가 네트워크 경쟁력에 따라 좌우되는 시대를 맞고 있다.

대기업들이 잇따라 중소기업 협력사와 상생협력 워크숍을 개최하고 물품대금의 현금결제 비중을 높이는 등 상생경영을 강화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위기일수록 '대기업-중소기업, 노동자와 사용자' 등 경제 주체들이 상생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위기극복은 물론 위기 후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대기업 중소기업간 상생-투자 및 고용 확대-기능 및 숙련 향상'이란 4대원칙이 선순환구조를 형성, 상생시스템을 정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김선빈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대기업들은 글로벌 경영하에서 비용절감 등을 위해 글로벌 소싱에 나설 수밖에 없다"며 "중소기업이 대기업과 정부지원하에 혁신역량을 강화, 대기업과 협력하는 유인요소를 갖춰야 한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금융, 기술개발 등과 관련한 정부와 대기업의 지원이 중소기업 협력사에 효율적으로 분배됨으로써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이 강화돼야 매출이 늘고 고용 창출도 확대될 것이란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또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물품대금을 결제함에 있어 현금결제 비중을 높이고 기술협력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당부한다. 삼성전자는 2004년부터 협력사의 국산화, 신기술 도입에 1800억원을 지원하는 등 5년간 약 6400억원을 지원했다. 이를 통해 협력사인 PSK와 개발단계부터 손을 잡고 반도체 원료인 웨이퍼를 특수 가공하는데 쓰이는 애셔(Asher) 장비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아울러 협력사 직원들의 역량을 높이는데 필요한 교육프로그램도 개선해야 한다. 기존 제조중심 교육에서 탈피해 영업과 구매, 마케팅, 재무, 리더십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노동자와 사용자가 고통을 분담한다는 인식도 중요하다.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구조조정을 진행하다보면 노동자의 고통 분담이 불가피할 경우가 많다. 자칫 노조가 선명성 경쟁을 벌여 상황이 악화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노동자들에게 '회사가 우리를 소모품으로 생각하지 않는구나'라는 인식을 주도록 단기적 효과만을 고려한 비용 감축보다 생산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힘을 모아야 한다.

크라이슬러, 제너럴모터스(GM), 포드 등 미국 자동차 '빅3'는 2001~2003년 인력 구조조정을 통해 당시 불황은 모면했지만 체질개선과 경쟁력 강화에는 실패했다. 결국 이번 위기를 맞아 다시 빈사상태에 빠져 정부 구원을 받기에 이르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몸값 124조? 우리가 사줄게"…'반도체 제왕', 어쩌다 인수 매물이 됐나
  2. 2 "연예인 아니세요?" 묻더니…노홍철이 장거리 비행서 겪은 황당한 일
  3. 3 [단독]울산 연금 92만원 받는데 진도는 43만원…지역별 불균형 심해
  4. 4 점점 사라지는 가을?…"동남아 온 듯" 더운 9월, 내년에도 푹푹 찐다
  5. 5 "주가 미지근? 지금 사두면 올라요"…증권가 '콕' 집은 종목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