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포털]'촛불'에 웃고 울었다

머니투데이 정현수 기자 | 2008.12.30 07:30

다음, 페이지뷰 한때 네이버 앞질러...정부 포털규제 대폭 강화

올해 포털시장은 '촛불'에 웃고 울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따른 광우병 파동으로 야기된 촛불집회는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만 머물지 않고 온라인 토론광장으로 번지면서 순식간에 사이버공간을 점령해버렸다.

매일 수십건의 의견이 온라인 토론광장에 게시되고, 이 의견에 대한 반론과 호응 댓글까지 줄줄이 달리면서 포털의 토론문화가 새로운 민주주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반면, 근거없이 타인을 비방하는 악성댓글도 적지않아, 포털에 대한 규제를 강화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는 평도 받고 있다.

◇포털 게시판의 '명암'

지난 5월부터 본격화된 촛불집회는 8월까지 2000여 차례가 넘는 오프라인 집회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포털 토론광장은 네티즌들 사이에서 중요한 소통공간이 됐다. 특히 다음의 토론광장 '아고라'의 활약상은 두드러졌다. 이명박 대통령 탄핵 서명 운동이 대표적이다. 다음 아고라에서 시작된 탄핵 서명 운동은 네티즌들의 관심속에 길거리 촛불집회로까지 이어졌다.

이같은 열기를 반영하듯 다음은 네티즌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심지어 촛불정국이 가속화되던 지난 5월에는 뉴스 페이지뷰에서 국내 최대 포털인 네이버를 앞지르기도 했다. 반면 네이버는 네티즌들의 외면을 감수해야 했다. 트래픽도 줄어들었지만, '친정부적'이라는 네티즌들의 시각 자체가 네이버의 발목을 잡았다.

촛불정국의 최대 수혜지로 꼽혔던 다음은 촛불집회가 사그라질 무렵부터 촛불에 데인 보수언론의 역공을 받기 시작했다. 지난 7월 조선·중앙·동아 등 보수언론사들이 다음에 뉴스 공급을 중단하기에 이른 것이다.

◇사이버모욕죄 등 정부 규제안 봇물


포털 입장에서 보면, 촛불 후유증은 너무 크다. 촛불여론이 사그라들 즈음, 정부와 한나라당은 발빠르게 포털에 대한 규제안을 내놓기 시작한 것이다. 지난 10월 배우 최진실씨가 자살하면서 포털을 규제해야 한다는 여론은 점차 힘을 얻기 시작했다. 최진실씨가 자살한 원인이 악성댓글에 따른 것으로 추정됐기 때문이다.

이후 정부는 인터넷 게시판 본인확인제의 확대시행을 비롯해 저작권법 개정, 사이버모욕죄 신설까지 검토하고 있다. 정부의 규제강도가 높아지면서 포털도 나름대로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포털업계가 모여 자율규제안 마련에 합의하고 현재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중이다. 그러나 포털업계는 내심 정부의 규제가 '규제를 위한 규제'로 이어질까봐 노심초사하고 있다.

게다가 음원저작권협회들이 NHN과 다음커뮤니케이션을 저작권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소한 것도 포털업체에는 부담으로 다가왔다. 급기야 검찰은 지난 23일 이들 업체와 임직원을 저작권법 위반 혐의로 사법 처리하기도 했다.

◇불황…포털업체 성장에 '제동'

포털업체들도 글로벌 금융위기로 야기된 전방위적 불황을 비껴나가지 못하고 있다. 지난 2002년 상장 이후 줄곧 고속성장을 해오던 NHN은 지난 3분기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고, 다음커뮤니케이션과 SK커뮤니케이션즈도 실적이 악화됐다.

NHN의 올해 매출목표는 지난해 9200억원에서 30% 가량 증가한 1조2400억원. 그러나 현재 시장상황에 비춰봤을 때 목표달성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다음의 올해 매출액도 지난해와 엇비슷한 수준에 머물 전망이다.

문제는 내년에도 실적호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경기침체가 내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포털을 향한 정부의 규제가 실적의 악재로 작용할 소지가 큰 탓이다. 이에 포털업체들의 한숨은 깊어만 간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오물만 들어 있는게 아니었어?...북한이 띄운 풍선 만지면 벌어지는 일
  2. 2 손웅정 변호사에 '1억 리베이트' 제안한 학부모… "형사 문제될 수도"
  3. 3 '사생활 논란' 허웅 측, 故이선균 언급하더니 "사과드린다"
  4. 4 '드릉드릉'이 뭐길래?…임영웅, 유튜브에서 썼다가 댓글 테러 폭주
  5. 5 마이클 잭슨, 사망 당시 '7000억' 빚더미…"장난감에 큰 돈 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