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위기 채권시장 급한 불 껐다”

임상연 기자, 김성호 기자 | 2008.11.13 16:56
- 대규모 유동성 공급으로 돈맥경화 해소 기대
- 지원 규모, 투자등급 제한 등 실효성 의문 지적도

“늦은 감이 있지만 급한 불은 끌 수 있다”
1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기금 조성과 관련, 채권전문가들은 이번 정부 대책을 ‘오랜 가뭄 속의 단비’라고 평가하고 있다. 그만큼 절실하고 시급했다는 방증이다. 특히 신용 리스크 확대와 유동성 부족으로 개점휴업 상태인 회사채 시장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채안펀드 카드 왜 꺼냈나
정부가 채권시장안정펀드라는 특단의 카드를 뽑은 것은 금융위기가 실물경제로 빠르게 전이되는 것을 막기 위한 선제적인 조치다.

회사채 시장 마비로 자금난에 처한 기업들이 줄도산 할 경우 투자자 불안 극대화-펀드런, 주식투매-금융불안-경기침체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사전에 유동성 공급으로 기업의 숨통을 터주겠다는 것이다.

전광우 금융위원회 위원장도 13일 채권시장안정펀드 조성 배경과 관련해 “경기 침체로 일부 취약부문의 부실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면서 시장 불확실성이 점증되고 있고, 이로 인해 투자자들의 위험기피 성향이 증대되면서 회사채, ABCP 등의 유통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기금(채권시장안정기금)이 아닌 펀드로 지원에 나선 것은 운용의 묘를 살리고,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기금으로 지원에 나설 경우 기금운영조직 및 포트폴리오 구성 등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자산운용업계의 채권펀드로 지원할 경우 빠르게 유동성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

이와 관련 금감위 관계자는 "채권시장안정기금이 아닌 펀드로 지원하는 것은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것”이라고 전했다.


스프레드 빠르게 축소될 것
채권전문가들은 채안펀드 지원이 본격화될 경우 채권금리 하락으로 국고채와 크레딧채권간의 스프레드가 빠르게 안정을 되찾을 것으로 전망했다. 채안펀드 참여 기관들이 자금 조달을 위해 보유 채권을 팔 경우 일시적으로 금리가 더 오를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금리가 하락할 것이란 판단이다.

박성진 채권운용팀 팀장은 “99년 채안기금 설립 당시 기금이 순매수한 채권보다 채권형펀드 이탈자금이 20조원 가량 많았지만 국채 금리는 9.7%에서 7.7%까지 0.2%포인트 하락했다”며 “그만큼 시장을 안정시키고 자정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김형호 아이투신운용 상무도 “기관들이 채안펀드 출연을 위해 보유 채권을 팔아서 자금을 마련해야 한다면 일시적으로 금리가 더 오를 수도 있지만 채안펀드가 활동을 개시하면 금리는 떨어질 수 밖에 없다”며 “문제는 채안펀드의 조성 및 실제 활동개시 시점이 언제인가 하는 것인데 가급적 이를 빠르게 앞당기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업계에서는 채안펀드 지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원 규모 확대와 투자 등급 제한 완화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형호 상무는 “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채권 등급별 매입 규모는 정해 놓더라도 등급을 제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또 추가 지원 여지나 의지를 보여줘야 시장이 심리적으로 더욱 안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채권운용본부장은 “리스크 관리는 필요하겠지만 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보다 과감한 투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싸구려 중국산' 무시하다 큰 코…이미 곳곳서 한국 제친 지 오래
  2. 2 G마켓, 소규모 셀러 '안전보건 무료 컨설팅' 지원
  3. 3 "한 달에 몇 번씩 여자 접대"…버닝썬 전 직원, 경찰 유착 폭로
  4. 4 '낙태 논란' 허웅, 팬서비스 잡음까지…"선물만 놓고 가렴"
  5. 5 홈앤쇼핑, 오픈이노베이션 스타트업 최종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