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 수신료 두고 '3각 싸움'

신혜선, 김은령 기자 | 2008.11.10 14:41

KT-지상파-대형PP '제로섬' 게임… 영세 PP들 "불리"

지난달 지상파 방송사와 IPTV 사업자들이 ‘선 송출 3개월 후 계약’이라는 포괄적 합의를 한데 이어 복수채널사업자(MPP) 중 하나인 온미디어가 5일 KT와 콘텐츠 수급 계약을 마무리하면서 IPTV 콘텐츠 협상이 전환점을 맞고 있다.

눈치를 보던 다른 MPP도 협상에 본격 임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지상파 방송사 역시 협상에 적극 임하는 분위기다.

오는 12월 12일 IPTV 3개 사업자와 지상파 방송 3사는 '실시간 지상파 방송 서비스를 포함한 IPTV 상용 서비스 선포식'을 공동으로 열 계획이다.

하지만 이들 협상을 바라보는 영세 PP들의 속은 편치 않다. PP에게 IPTV 콘텐츠 협상은 ‘제로섬’ 게임이자 '남의 잔치'이기 때문이다. 결과에 따라선 IPTV로 인해 방송 산업이 더욱 왜곡됐다는 비난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 IPTV-지상파-MPP, 5000원내 제로섬 게임?

KT가 방통위에 제출한 이용약관상 IPTV 월 이용료는 1만6000원. KT는 이 중 30% 정도인 4800원 정도를 콘텐츠 비용으로 지급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방통위가 SO 재허가 조건으로 정한 ‘PP 수신료 25% 지급’보다는 높으니 KT로서는 '정부 가이드'를 넘겼다는 명분을 챙겼다.

하지만 이 금액은 지상파 방송사와 자회사, 19개 지역 MBC 및 12개 지역 민영방송사, 그리고 MPP를 비롯한 100여 개 가량의 독립 PP들이 나눠가져야 한다.

콘텐츠 공급 진영 중 절대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지상파 방송사와 자회사, 그리고 MPP가 많이 가져갈 경우 일반 PP의 몫은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다.

◇ MBC 계약이 잣대? '스카이라이프’ 공급가 주목

상황이 이렇다보니 관심은 지상파 방송사의 계약 금액에 쏠릴 수밖에 없다.

IPTV 전국 방송을 감안할 때 지상파 방송 콘텐츠 수급의 우위는 MBC가 쥐고 있다. KT 역시 MBC와 계약을 우선 성사시키는 게 다른 지상파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기 때문에 MBC와 협상에 주력하고 있는 눈치다. SK브로드밴드나 LG데이콤도 KT와 MBC와 협상을 주목하고 있다.


방통위에 따르면 협상이 난항을 겪었던 KT와 서울MBC간의 콘텐츠 수급계약은 재추진되고 있으며, 합의점에 상당히 근접했다.

금액이 확정적이라고 할 수 없지만, MBC가 3년 전 스카이라이프에 제공했던 콘텐츠 수급 금액보다 다소 높게 책정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MBC가 일부 알려진 지상파 방송사의 요구 금액보다 낮게 계약을 추진하는 이유는 조직 특수성 때문이다.

19개 지역MBC는 IPTV 사업자와 계약을 개별로 추진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MBC가 무작정 가입자당회선비용(CPS)을 높게 요구할 경우 계약은 파행으로 갈 위험이 있다. 특히, 무리한 콘텐츠 사용료 요구는 자칫 '공영방송’ 위상 논란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MBC로서는 조심스럽게 접근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 IPTV, 지상파 연간 100억 수익 보장하자

얼마가 됐든 IPTV 사업자의 ‘지상파 퍼주기 논란’은 피해가기 힘들 듯하다.

KT의 IPTV 가입자가 100만명이 되면 방송사는 연간 40억~60억원 가량의 CPS 수익을 거둔다. 여기에 자회사가 받는 콘텐츠 이용료, 그리고 IPTV 사업자가 일시금으로 운영하는 250억원 전후의 펀드를 감안하면 이 액수는 더 늘어난다.

물론 이는 KT 한개 사업자로부터 벌어들이는 수익이다. KT 보다 낮은 수준에서 책정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SK브로드밴드LG데이콤 등 3사와 계약을 감안하면 방송사의 연간 수익은 100억원에 달하는 것은 시간문제다. 물론 이 수익은 IPTV 가입자가 늘어날수록 함께 증가한다.

한 PP관계자는 "지상파 방송과 온미디어 등 일부 PP에 콘텐츠 비용이 많이 돌아갈수록 영세한 PP들의 몫은 줄어든다"고 말했다. 그는 "IPTV가 다양한 채널 구성보다는 경쟁력 있는 일부 채널만 갖춰 서비스하겠다는 뜻 아니겠냐"며 "콘텐츠 지원, 개발을 얘기했던 IPTV의 초기 공언과는 거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IPTV 서비스를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콘텐츠 수익을 확보하게 됐다. IPTV 사업자와의 협상이 끝나면 바로 SO와 ‘디지털 케이블TV 콘텐츠 이용료’ 계약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IPTV가 '국내 시장에서 방송사 콘텐츠 매출 시대'를 열어주는 셈이다.

방통위는 "자율 협상이기 때문에 정부가 관여하지는 않고 있다"며 "하지만 과도한 수신료는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방통위는 "IPTV 산업으로 방송 콘텐츠 산업이 동반 성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지만, 콘텐츠 수익 배분이 왜곡된 방송 시장구조를 고착화하는 형태로 나타나서는 안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네 남편이 나 사랑한대" 친구의 말…두 달 만에 끝난 '불같은' 사랑 [이혼챗봇]
  2. 2 노동교화형은 커녕…'신유빈과 셀카' 북한 탁구 선수들 '깜짝근황'
  3. 3 '6만원→1만6천원' 주가 뚝…잘나가던 이 회사에 무슨 일이
  4. 4 "바닥엔 바퀴벌레 수천마리…죽은 개들 쏟아져" 가정집서 무슨 일이
  5. 5 "곽튜브가 친구 물건 훔쳐" 학폭 이유 반전(?)…동창 폭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