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실물경제 체온은?

머니투데이 이지영 MTN 기자 | 2008.10.22 08:45

은행 부실채권 관리 비상

< 앵커멘트 >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우리나라 은행들의 부실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자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부실 채권을 정리하는 등 유동성과 건전성 관리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이지영 기자의 보돕니다.

< 리포트 >
글로벌 금융위기가 확산되자 무디스와 스탠더드앤푸어스 등 국제 신용평가사들은 우리 나라 은행들에 대해 잇따라 부정적 전망을 내놨습니다.

국내 은행들이 달러 등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부실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이유에섭니다.



상황이 이러하자 은행들이 부실 채권을 정리하는 등 건전성 관리에 발벗고 나섰습니다.

우리은행은 지난달 810억 원의 부실채권을 매각했고, 다음달에도 추가로 부실채권을 처리할 방침입니다. 하나은행 역시 지난달 2천900억 원의 채권을 내다 팔았습니다.

은행들은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도 크게 줄이고 있습니다. 1% 정도이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지난달 말 1.5%에 이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매달 평균 증가액이 5조 9천억 원이던 중소기업대출은 지난달엔 4조원이나 줄어든 1조 9천억 원에 머물렀습니다.


저축은행들도 상황은 마찬가집니다. 올해 안에 저축은행 몇개가 무너질 것이란 소문이 나돌자, 앞다퉈 여신관리에 나서고 있습니다.

기존에 중소기업대출이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업무를 주로 하던 저축은행들은 그동안 관례처럼 해주던 대환 등 만기 연장을 해주지 않고 있습니다.

당장의 고육지책이긴 하지만 고금리 특판 예금 판매 등 고객을 붙잡아 두면서, 자금 관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주량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다양한 자금 확보가 이뤄질 수 있도록 새로운 수익원을 발굴해야 한 필요가 있습니다. CD나 은행채 발행 부담 증가에 대비해 새로운 수익원과 예금 유치 방향 등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합니다.

정부가 이번에 외화차입에 대한 지급보증과 한국은행을 통한 원화 유동성 공급에 나서면서 은행들의 자금 사정은 일부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정부의 대책에만 의존하기 보다 이번 위기를 교훈삼아 은행들 스스로 자본력 확충과 건전성 관리를 위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MTN이지영입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네 남편이 나 사랑한대" 친구의 말…두 달 만에 끝난 '불같은' 사랑 [이혼챗봇]
  2. 2 '6만원→1만6천원' 주가 뚝…잘나가던 이 회사에 무슨 일이
  3. 3 "바닥엔 바퀴벌레 수천마리…죽은 개들 쏟아져" 가정집서 무슨 일이
  4. 4 노동교화형은 커녕…'신유빈과 셀카' 북한 탁구 선수들 '깜짝근황'
  5. 5 "곽튜브가 친구 물건 훔쳐" 학폭 이유 반전(?)…동창 폭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