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인수 'FI 싸움'도 볼만하네

더벨 현상경 기자 | 2008.09.02 09:00

지원후보 결정 놓고 경쟁사 눈치보기·시간끌기 등 물밑경쟁 치열

이 기사는 08월28일(15:15)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대우조선해양(DSME) 매각전 승리는 자금력과 시너지를 과시할 '황금비율'의 컨소시엄을 어떻게 짜느냐에서 비롯된다. 이로 인해 인수전이 본격화되기 전부터 후보들은 여러 재무적투자자(FI)에게 러브콜을 보냈고 상당수 회사들이 막판 조율을 하고 있다.

투자자별 합종연횡 결과는 9월로 예정된 두 단계(two-step)의 예비입찰과 본입찰을 거친 후에야 실체가 드러날 전망이다.

FI들은 겉으로는 지원후보, 요구수익률, 투자형태에서 다소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이들 모두가 원하는 건 단 한가지. "금메달을 목에 걸후보의 파트너가 되고 싶다"는 것.

상황이 이러다보니 FI들 사이에서는 지원후보 결정을 놓고 '경쟁사 눈치보기'와 '시간끌기'가 아직도 진행중이다. 내부적으로 특정후보 컨소시엄 참여를 결정했거나 구두로 의사를 전달했음에도 불구, 이를 명시화한 경우도 극히드물다.

일부 FI들은 당장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것보다 우선협상대상자가 결정된 이후에 들어가는 방법까지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FI들, 어디어디 지원하나

1조원 이상을 집행할 수 있는 시중은행들의 이합집산은 대강의 밑그림이 나왔다. 알려진대로 신한은행이 포스코를, 국민은행과 기업은행이 GS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 물론 100% 확정사항은 아니다. 3개 후보군 모두의 주거래은행인 우리은행만이 최후의 순간까지 투자후보군 선정을 미룰 것으로 전망된다. 농협은 한화와 협의를 진행했지만 최종 확정여부에 여지를 남겨놨다.

대구은행이 GS를 지원하고자 주요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1조원 가량을 모집하고 있다. 목표액의 상당량을 확보한 가운데 지분투자(Equity) 형식을 취할지, 아니면 대출(Debt) 형태로 지원할지 여부를 검토중이다.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일부가 대구은행의 GS인수금융에 대한 참가를 심도있게 검토하고 있다.

국민연금은 자금운용사인 신한PE에게 위임장(mandate)를 제공해주요 후보군에게 투자금 집행기준을 제시했다. 포스코, GS, 한화 등에 대한 요구수익률은 8~11%로 다르게 요청됐다.

군인공제회는 성동조선해양을 파트너로 삼아 포스코에 공동투자의사를 타진한 바 있으나 끝내 확답을 받지 못했다. 별도로 산업은행으로부터 주식매각안내서까지 받아갔지만 투자의향서(LOI)는 제출하지 않았다. 어느 후보군 편에 설지는 미지수.

사학연금, 교원공제회, 행정공제회 등도 수백억원에서 수천억원대의 직접투자 또는 사모펀드를 통한 간접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IMM프라이빗에쿼티(PE), 미래에셋, 맥쿼리가 이들로부터 자금을 받아 사모펀드 구성을 계획하고 있다.


일부 부티끄 회사가 해외 금융회사로부터 자금집행 위임장을 받아 8000억원대의 투자여부를 놓고 일부후보와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최하단에는 국내증권사들이 각종 리그테이블 진입을 위해 후보군들에게 인수금융 참여여부를 호소하고 있다.

뒤늦게 LOI를 제출한 현대중공업과 컨소시엄 구성을 논의한 재무적투자자는 아직 한 곳도 없다. "현대중공업이 정말 본 입찰까지 갈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게 FI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금융위 심기를 건드리지 않는 선에서 '풋옵션' 요청

재무적투자자들의 대부분은 금융위원회의 무리한 차입인수(LBO)와 풋백옵션 '경고'에도 불구, 일부분 보장수익률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자금여력이 풍부한 포스코에 대해서는 연 8%대, GS에는 9%대 중후반, 한화에 대해서는 두자리수 이상의 수익률이 거론된다.

연기금측의 한 관계자는 "3~4조원짜리 지분을 프리미엄 100%이상을 붙여 7~8조원에 사들인다는 것 자체가 이미 투자와 동시에 손실을 보게 된다는 의미"라며 "엑시트 스킴(Exit scheme)이 마땅하지 않은 딜이다보니 안정적인 수익확보 방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투자자를 끌어들이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정후보군 지원여부를 논의했더라도 막판 '변심'의 가능성도 제기된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뚜껑이 열릴 때까지는 최종적으로 누구에게 자금을 줄지 알 수 없는 것 아니냐"며 "투자확약서(LOC)를 제공하지 않았다면 본입찰 전까지 발생할 여러 사안들이나 부각될 이슈에 따라 후보군을 달리 선택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지원후보가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되지 못했더라도 투자가능성이 사라진 것은 아니라는 의견마저 나온다.

또 다른 재무적투자자는 "7조원 이상을 넘길 딜이다보니 덩치가 큰 기관투자자들 대부분은 어떤 형태로든 참여할 방법과 여지가 많다"며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이 다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금융위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기 위해 후보군들이 제시할 은밀한 '보상수단'을 기대하는 투자자들도 많다.

기관투자자의 한 관계자는 "일부 후보군은 원화채만 한 번에 2~3000억원씩 발행하지 않느냐"며 "이런 후보군을 지원할 수 있다면 당장은 아니라도 다양한 형태의 '먹거리'를 보상받을 수 있다고 보고 줄을 대려는 증권사도 다수"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유재석, 자녀에 '300억↑재산' 안 물려준다?…"미래는 모르지만"
  2. 2 '흑백요리사' 출연 땅 치고 후회할판…"빚투, 전과, 사생활 논란" 그들
  3. 3 "한국서 10억달러 받는 게 더 쉬웠다"…아빠 건물서 월세 걷던 그 소년[대통령의 직업]
  4. 4 내년부터 카드로 새 차 구입 어려워진다… 카드 특별한도 축소 검토
  5. 5 "중국요리 훔친 대도둑" 비난에…백종원·정지선 직접 입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