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 공급 급감 "IMF 뺨친다"

머니투데이 김정태 기자 | 2008.07.10 11:25

8월 전국 분양예정물량 1만1150가구 98년 8월 이후 최저

-8월 분양예정물량 IMF외환위기 수준 급감
-1~5월 물량 중 아파트 비중 45% 불과
-민간 공급부족 지속시 2~3년 뒤 급등 우려


미분양주택 급증과 분양가 상한제 시행 등으로 아파트 건설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는 사실이 정부와 부동산정보업체의 통계치에서 다시 한 번 확인됐다.

특히 수도권에서 인허가를 받은 분양 물량 중 아파트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어 앞으로 아파트 구하기가 힘들어질 전망이다.

10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전국에서 1~5월에 건설승인을 받은 주택은 총 11만1627가구로 이 중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58%에 불과하다. 이는 2006년 86%, 2007년 88%를 차지했던 것과 비교하면 확연히 떨어진 것이다. 수도권에서는 아파트 비중이 45%에 불과했다.

월간 분양예정물량도 IMF외환위기 수준으로 급감하고 있다.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8월 전국에서 분양 예정인 아파트(주상복합 포함)는 총 30곳 1만1150가구다. 이는 1만960가구가 분양됐던 98년 8월 이후 최저 물량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 17곳 4496가구 △지방 5대광역시 5곳 2290가구 △지방중소도시 8곳 4364가구다.

이처럼 올해 8월 분양물량이 급감한 것은 비수기 탓도 있지만 최근 분양가상한제, 자금난, 미분양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건설사들이 분양을 미루거나 보류하고 있다. 또 주택공사와 토지공사가 분양하는 수도권 공공택지 절반이 미분양됐다는 점은 앞으로 건설사들의 아파트 건설 물량이 계속 줄어들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도권의 경우 2~3년 뒤 공급차질이 빚어지면서 집값이 다시 급등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IMF외환위기를 겪으면서 98, 99년 공급물량이 급감해 결국 2002년부터 부동산가격이 급등한 전철을 되밟을 수 있다는 것이다.

스피드뱅크 박원갑 부동산소장은 "올해 정부가 당초 계획했던 연간 30만가구 건설도 다세대주택의 지분쪼개기 등 급증으로 허수가 많아 실제 공급 물량은 20만가구에 그칠 것"이라며 "민간분양물량의 감소가 내년까지 이어질 경우 경기회복 시점에 과거와 같은 부동산 폭등현상이 재연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산소마스크 내려오고 승객들 코피 쏟고…대만행 대한항공편 긴급 회항
  2. 2 "얼굴 알려진 배우"…성폭행 후 속옷 차림으로 빌던 선생님의 정체
  3. 3 김호중 "돈도 없는 XX놈"…건물주 용역과 몸싸움, 3년전 무슨 일
  4. 4 박세리, 부친 빚 대신 갚느라 힘들었는데…'증여세' 최소 50억 더 내라고?
  5. 5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