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임 총리설(說)'…불신만 부른다

머니투데이 이새누리 기자 | 2008.06.17 11:47
'설(說)'의 정국이다. 실체는 없고 유령 같은 말만 떠돈다. 한승수 국무총리의 뒤를 이을 사람을 두고서다.

제일 먼저 타깃이 된 사람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박 전 대표는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차기 총리 카드로 빈번하게 거론됐다. 확고한 지지층을 가진 박 전 대표가 난국을 풀어갈 적임자라는 논리에서다.

"박 전 대표 정도면 괜찮다"는 청와대 관계자들의 말도 많았다. 그러나 청와대 측의 직접적인 제의는 없었다. 현재 박 전 대표 총리설은 쏙 들어갔다.

문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것. 지난해 대선이 끝난 직후에도 비슷한 상황이 한차례 있었다. 지난해 12월29일 이명박 당시 대통령 당선인과 단독회동을 가졌던 박 전 대표가 총리직을 제안받았다는 말이 흘러나왔다.

하지만 박 전 대표는 당시 비공식적으로 총리를 제안받은 적이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없다"고 일축했다. 한동안 분분하던 '설'은 공중분해됐다. 비슷한 일이 재연되면서 '친박계(친박근혜계)' 의원들은 '만약'이란 가정법에 손사래를 칠 정도다. 언론 플레이라는 비판도 나왔다.

결국 남은 건 양측간 더 깊어진 골 뿐이다. 당내 한 의원은 "(이번 일로) 이제는 두 사람이 아예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넌 것 같다"고 말했다.

이제 또다른 타깃이 나타났다. 충청 출신의 심대평 자유선진당 대표다. 지난 15일 이 대통령과 이회창 선진당 총재의 회동에서 심 대표에 대한 총리 제안이 있었느냐에 대해 설왕설래가 있었다.


정작 이 총재와 심 대표는 "공식적으로든 비공식적으로든 제안을 받은 바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심 대표는 16일 한 라디오 방송에서 "일관되게 말씀드렸는데 제가 직접 제안 받은 것도 없고 이회창 총재도 제안 받은 게 없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심 대표는 "국가가 당론보다 우선"이라며 총리 수용 가능성도 시사했지만 이 총재와 당내 분위기는 사뭇 부정적이다. 심 대표가 총리가 될 경우 선진당의 운신의 폭이 좁아질 뿐더러 국정 책임을 함께 떠맡아야 하는 부담도 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비슷하게 지난 1월 내각인선을 앞두고 심 대표가 총리로 거론된 대해 이 총재측은 "장난치고 있다"며 불쾌감을 표한 적이 있다.

이밖에도 '설'은 많다.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이나 최인기 통합민주당 정책위의장, 강현욱 전 전북지사 등이 하마평에 오른다. 아예 한승수 총리가 연임될 거란 얘기도 나온다.

청와대 수석가 일괄사의를 표명한지 2주, 내각이 일괄사의를 표명한지 1주일이 지났는데도 방향없는 설만 난무한다. 근본 원인은 이 대통령의 느린 인사 스타일에 있다. 이번주내 인사쇄신의 큰 윤곽이 나온다지만 '설'로 촉발된 불신과 혼란은 돌이킬 수 없을 듯하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말도 안 되는 휴진하게 된 이유는…" 소아흉부외과 교수 '통곡의 편지'
  2. 2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3. 3 신동엽, '대마초 사건' 자폭 개그에…"부끄러운 줄 모르냐" 일침
  4. 4 3시간만에 수정된 '최태원 이혼 판결문'…"파기 사유도 가능"
  5. 5 군중 앞 끔찍한 전처 살해…"안 잡힐 자신 있다" 증발 16년째[뉴스속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