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댓글알바' 논란, 한나라"있다면 이렇게 돼?"

머니투데이 박종진 기자 | 2008.05.12 17:21
↑네티즌들이 올린 한나라당 '댓글알바' 비난관련 사진

"알바 꺼지삼"

쇠고기 파동이 한창인 가운데 인터넷 '댓글알바' 논란이 뜨겁다.

광우병 관련 게시물에 정부에 우호적인 댓글이 달리면 네티즌들은 어김없이 돈 받고 전문적으로 글을 올리는 '알바'로 규정하고 집중 공격을 하고 있다.

네티즌들은 쇠고기수입을 옹호하는 댓글을 계속 올리는 이용자의 IP주소를 추적해보면 정부기관인 경우가 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특히 지난달 27일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 당시 여대생들을 고용해 이명박 후보에게 유리한 댓글을 달게 한 혐의로 한나라당 당원이 실제로 징역 1년을 선고 받은 적이 있어 의구심은 더욱 커졌다. 당시 이 '알바'들은 12명이었으며 일당 5만 5천원을 받고 모두 9717개의 댓글을 단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부터 떠돌던 "저는 한나라당 댓글 알바생입니다"로 시작하는 확인되지 않은 '양심고백'성 글도 블로그와 각종 사이트 게시판에 새삼 번져갔다. 이 글에는 근무형태, 근무기간별 시급 등이 상세히 나와있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 측은 "절대 그런 일 없다"고 의혹을 일축했다. 조윤선 한나라당 대변인은 머니투데이와의 전화통화에서 "인터넷을 쓰는 사람들이 한 가지 생각만 가지고 있겠나. 여권과 비슷한 의견이 있다고 '알바'로 몰면 안 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한 당직자도 "우리가 '알바'를 쓴다면 (광우병 공포와 같은) 지금 이런 상황이 벌어졌겠나"고 반문하며 "당과는 전혀 상관없는 일"이라고 잘라 말했다. 일부 네티즌들이 '알바' 모집의 증거라며 내놓은 한나라당의 '디지털특보 공개모집'이란 팝업창에 대해선 "이전 박근혜 대표 때 디지털 정당화를 추진하기 위해서 전문가를 모시려고 했던 것이지 '알바'와는 관련이 없다"고 설명했다.

청와대 한 관계자 역시 "댓글 '알바'가 없으니까 이렇게 당하는 것 아니냐"며 "(여권이 인터넷 여론조작을 한다는) 각종 괴담과 유언비어들이 많지만 어차피 신뢰도가 떨어지는 말들이기에 머지않아 네티즌들이 이를 외면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지하철서 지갑 도난" 한국 온 중국인들 당황…CCTV 100대에 찍힌 수법
  2. 2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빵 11개나 담았는데 1만원…"왜 싸요?" 의심했다 단골 된 손님들
  5. 5 한국 연봉이 더 높은데…일 잘하는 베트남인들 "일본 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