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텔레콤은 8일부터 12개월 의무약정제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보조금 혜택은 8~12만원 수준. 이로써 이동통신 3사 모두 의무약정제도를 운영하게 됐다.
의무약정제에 가장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던 KTF는 12개월 18개월 24개월 등 다양한 약정기간을 설정해 최대 18만원까지 보조금을 준다. 약정기간에 따라 사용요금을 할인해주기도 한다.
KTF의 의무약정 가입자 수는 4월말 기준 20만명. SK텔레콤에 비해 적은 숫자지만 지난달 신규 가입자 62만명 중 3분의 1이 의무약정제를 이용했다는 점에서 무시할 수 없다.
SK텔레콤은 T기본약정을 통해 약정기간 12개월을 조건으로 최대 12만원까지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현재 SK텔레콤의 의무약정제 가입자는 82만명. 신규 가입자 70만명과 기존 가입자 12만명 정도 수준이다. 지난 4월 신규가입자가 73만명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많은 편이다. SK텔레콤은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에서 "신규가입자의 80%가 의무약정제를 선택한다"고 밝혔다.
시장 상황을 지켜보겠다던 LG텔레콤이 의무약정제 도입에 동참한 이유도 이런 수요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LG텔레콤 관계자는 "휴대폰을 저렴하게 구입하려는 고객의 수요에 맞춰 의무약정제도를 도입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통 3사가 모두 의무약정제를 시행함에 따라 휴대폰 시장은 당분간 더욱 안정화될 전망이다. 휴대폰 시장은 보조금 규제 폐지를 앞둔 지난 3월말 신규가입자가 216만명에 이르는 등 극도로 과열됐다가 의무약정제가 도입된 지난 4월부터 진정되는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시장의 변화와 함께 이통사들의 마케팅 전략도 초점이 바뀔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의무약정제가 활성화되면 다른 이통사의 고객을 유치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이통사들은 장기가입자에 대한 혜택 확대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