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연봉 100억의 산업은행장

머니투데이 정희경 금융부장 | 2008.04.30 09:45
얼마 전 시중은행 최고경영자를 만났을 때 일이다. 인사차 들른 퇴직 사원을 막 돌려보낸 그는 "연봉이 문제야"라고 혀를 찼다. 이미 외국계 투자은행(IB)으로 전직한 직원을 다시 불러들이고 싶지만 도무지 보수를 맞춰줄 수 없다는 얘기였다.

증권사 못지않게 각광받는 은행 IB부문의 인력 품귀 현상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유능한 직원들은 고액 연봉을 주는 외국계로 속속 이탈한다. 정규직을 계약직으로 전환, 보수를 올리는 방안을 강구하는 은행이 등장한 것도 무리는 아니다. 임금체계나 사내 분위기상 특정 부서 직원에 한해 '파격적인' 대우를 해주기가 쉽지 않은 때문이다.

시중은행들의 이런 고민을 감안하면 최근 도마에 다시 오른 금융 공기업의 '과도한' 연봉에 대한 접근법도 달라져야 할 것같다. 정부는 "리스크를 안고 사업을 하지도 않고 무슨 연봉을 수억원씩 받느냐"는 이명박 대통령의 지적에 따라 금융기관장 연봉을 삭감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큰 리스크를 안고 높은 수익을 올렸다해도 연봉을 높여줄 여지는 없는 것같다.

이래서는 금융 공기업의 효율성을 민간기업 수준으로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 축소된 연봉에 맞게 '얌전한' 기관으로 만들 수 있을지언정 적극적으로 리스크를 떠안으려는 '도전적인' 기업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금융 공기업의 체질을 뜯어고치려면 연봉 상한선을 손댈 게 아니라 성과에 따라 연봉 격차를 더욱 키우는 한편 무임승차하려는 '고인 물'을 내보내야 한다. 이를테면 글로벌 IB로 키우겠다는 산업은행의 경우 총재 연봉을 현행 6억원대에서 100억원대로 높여 정상급 CEO가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때 예산이 부족하다면 기존 인력 가운데 일부를 줄이거나 파이(이익)를 키워나가면 된다.


아울러 필요한 것은 농업진흥청이 도입하기로 한 '상시퇴출제'다. 해마다 고위직을 포함해 성과가 가장 낮은 직원 5%가량을 퇴출하는 이 제도는 외국기업에선 일반화돼 있다. 외국계 금융회사 경력이 30년 가까운 한 인사는 '최하위 5% 퇴출제'가 조직의 활력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고 설명했다.

"우선 기존 직원들이 열심히 움직일 수밖에 없습니다. 실적을 내지 못하면 회사를 떠나야 하기 때문이죠. 살아남은 이들은 매년 퇴출자를 대신해 새로 들어오는 직원들과 또 한차례 경쟁을 해야 하는데, 결코 만만하지가 않습니다." 한 해를 넘겼다고 그 다음해가 보장되는 게 아니어서 상시퇴출제의 근간은 상시경쟁체제라는 설명이다.

물론 이 제도는 개인 성과의 평가 기준이나 방식을 놓고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 우리가 온정주의에 익숙한 만큼 자칫 '코드'나 학연으로 운용이 왜곡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이같은 부작용이 나타나더라도 경쟁을 통한 실적 향상으로 충분히 상쇄될 수 있다고 본다.

금융 공기업의 개혁은 그동안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는 게 아니라 앞으로 나가야할 방향에 맞춰 전향적으로 추진돼야 한다. 그래야 일회성 '때리기'에 따른 반발도 잠재울 수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노동교화형은 커녕…'신유빈과 셀카' 북한 탁구 선수들 '깜짝근황'
  2. 2 "바닥엔 바퀴벌레 수천마리…죽은 개들 쏟아져" 가정집서 무슨 일이
  3. 3 '황재균과 이혼설' 지연, 결혼반지 뺐다…3개월 만에 유튜브 복귀
  4. 4 '日 노벨상 산실' 수석과학자…'다 버리고' 한국행 택한 까닭은
  5. 5 "곽튜브가 친구 물건 훔쳐" 학폭 이유 반전(?)…동창 폭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