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靑재산 "지켜보자" vs "또 강부자"

머니투데이 김성휘 기자 | 2008.04.24 14:47

한나라 "수석 재산형성 과정이 관건"

24일 재산공개를 통해 청와대 수석들의 재산이 평균 35억원이 넘는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정치권은 재산 형성과정의 불·탈법 여부를 가려야 한다며 모처럼만에 한 목소리를 냈다.

그러나 속내는 다르다. 한나라당은 일단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여론의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것. 반면 통합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은 한미 쇠고기 협상에 이어 '청와대 강부자'를 쟁점화하려는 움직임이다.

한나라당엔 "재산이 많다는 것만으로 문제 삼을 수는 없지 않느냐"는 공감대가 감지된다. 다만 첫 내각의 재산공개 이후 불거졌던 '강부자'(강남의 땅부자) 논란이 재연될 경우 당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조윤선 한나라당 대변인은 "재산 형성 과정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가 관건"이라며 말을 아꼈다. 이날 열린 최고위회의에서도 반응을 자제하는 분위기였다.

반면 통합민주당 등 야권은 적극적인 공세를 펼 태세다. 이들은 "내각에 이어 청와대도 '강부자'임이 확인됐다"고 비판했다.

차영 민주당 대변인은 "역시 강부자 내각 위에는 강부자 청와대가 있었다"며 "땅과 집과 골프 회원권을 사랑하는 분들이 서민과 중산층을 위한 경제정책을 마련할 수 있을 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박선영 자유선진당 대변인은 "부자가 비난의 대상일 순 없지만 문제는 정당한 방법으로 재산을 형성했느냐는 것"이라며 ""불법·편법으로 재산을 축적했다면 국민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회창 총재는 이날 가진 간담회에서 "깨끗한 부라면 탓할 게 없지 않느냐"며 "올바르게 모은 재산이 아니라면 문제이고, 그런 부분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노동당은 "1% `강부자' 내각과 똑같은 청와대 수석진임이 드러난 데 대해 국민은 소외감을 느낄 것"이라며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번 재산 공개 내용을 철저히 검증, 허위·누락 사실이 드러날 경우 엄중 처리해야 한다"(박승흡 대변인)고 요구했다.

진보신당은 "'강부자'를 위한 부동산정책, 투기 프렌들리 정책이 예견돼 있는 것 아니냐"(이지안 부대변인)고 비판에 동참했고 창조한국당도 "정부가 부자만을 위해 나갈 것인 지 우려된다"(김석수 대변인)고 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
  4. 4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5. 5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