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문기관인 정치위기관리(PRS)그룹은 1991~2003년까지 우리나라의 평균 법·질서 준수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는 4.3으로 OECD 30개국 중 27위로 평가했다. 준수도가 가장 높은 경우 6점, 가장 낮은 경우 0점으로 우리나라 점수는 평균(5.4)를 크게 밑도는 최하위 수준이다. 멕시코, 터키 정도가 우리보다 낮았다.
고성불패(高聲不敗) 한국의 현실을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목소리 크면 이기고 억지쓰고 떼 쓰면 받아주는 '고성불패' 상황으로 인해 우리 사회가 부담하는 유무형의 손실은 막대하다.
KDI는 특히 OECD 국가들의 평균 법·질서 준수 수준을 유지했다면 1991~2000년의 10년간 매년 약 1%포인트 내외의 추가적인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잠재성장률이 하락하고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지만 고성불패가 아니라 ' 준법불패'(遵法不敗)가 사회의 기준으로 정착된다면 1%의 성장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올해 주요 경제단체들이 "법과 원칙이 지켜지는 나라를 만들어 달라"고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에게 한 목소리로 주문한 것은 우리나라가 기업하기 힘든 나라가 된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 문제에서 비롯되고 있기 때문이다.
불법을 불사하고 파업을 강행하고 불법 행위를 하더라도 처벌받지 않는 상황의 반복은 기업의 경영환경을 예측 불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경총이 최근 종업원 300인 이상 194개 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2008년도 노사관계 전망조사' 에서도 새 정부의 노사관계 분야 우선 추진과제로 전체 응답자의 77%가 '법과 원칙의 확립'을 선택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전문가들은 법과 질서를 준수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사전적으로는 이해 관계자들이 서로 의견을 조정하고 합의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하고 사후적으로는 법·질서를 위반하면 반드시 적발해 법에 따라 처벌된다는 일관성을 보여줘야 한다고 지적한다.
차문중 KDI 선임연구위원은"법·질서의 위반에 대해 정부가 강경한 대응 성명을 발표하더라도 그에 부합하는 실제적인 적발과 처벌이 뒤따르지 않을 경우 위반할 경우에도 처벌받지 않는다는 학습효과를 통해 법ㆍ질서의 위반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불법행위에 대한 정치적 타협 관행 타파하고 노조의 불법파업 관행 만큼은 분명하게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이와함께 집단간 갈등이 법질서 위반으로 표출되기 전에 이를 조정하는 시스템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