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지경부? 뭐라고 불러야 돼"

머니투데이 이상배 기자 | 2008.01.16 17:01
'공거위'라는 말이 있었다.

'텅빈 거위'란 뜻이 아니다. 1981년 경제기획원 산하 '공정거래위원회'가 처음 생겼을 때 불리던 약칭이다. '공정'과 '거래'의 앞글자만 떼어 불렀던 탓이다. 공거위란 약칭이 공정위로 바뀌어 정착된 것은 1990년대 중반이 돼서다.

기획예산처도 마찬가지다. 처음에는 '기예처'로 불렸다. 지금은 기획처, 예산처가 혼용된다.

정부 부처는 대개 약칭으로 불리게 마련이다. 재정경제부, 보건복지부가 재경부, 복지부로 불리듯이.

문제는 약칭에 따로 규칙이 없다는 점이다. 재경부처럼 단어의 앞글자만 떼서 부르기도 하고, 복지부처럼 한 단어만 쓰기도 한다. 대개 국민들이 부르기 쉬운 쪽으로 수렴된다. 그 전까지는 오해와 논란이 적지 않다. 부처의 정체성 뿐 아니라 어감도 중요한 변수다.

앞으로 당분간은 또 그런 논란을 겪게 됐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16일 발표한 정부조직 개편 방안에 따라 많은 부처가 통폐합되고, 새로 출현하게 된 때문이다.


당장 재경부와 기획처가 합쳐진 '기획재정부'가 문제다. '기재부'는 어감이 생소하다. '기획부'와 '재정부'도 정체성을 고루 드러내긴 어렵다. 현재로선 옛 경제기획원이 기획원으로 불렸듯 기획재정부도 기획부로 불릴 공산이 커 보인다. 다만 숫자상 우위에 있는 재경부 출신들의 정서가 변수다.

'지식경제부'도 마찬가지다. 산업자원부, 과학기술부, 정보통신부 등이 합쳐진 것인데, '지식부'는 너무 좁고 '경제부'는 너무 넓다. '지경부'도 어감이 좋지만은 않다.

보건복지부와 여성가족부가 합쳐진 '보건복지여성부'는 어떨까? 보건복지부의 약칭인 '복지부'가 유력하지만, 여성부 출신자들의 자존심 문제가 걸린다.

건설교통부와 해양수산부가 통합된 '국토해양부', 외교통상부와 통일부가 합쳐진 '외교통일부' 역시 소규모 부처 출신자들의 정서를 무시할 수 없는 터다.

결국 시간 만이 해결해 줄 문제다.

베스트 클릭

  1. 1 "네 남편이 나 사랑한대" 친구의 말…두 달 만에 끝난 '불같은' 사랑 [이혼챗봇]
  2. 2 노동교화형은 커녕…'신유빈과 셀카' 북한 탁구 선수들 '깜짝근황'
  3. 3 '6만원→1만6천원' 주가 뚝…잘나가던 이 회사에 무슨 일이
  4. 4 "바닥엔 바퀴벌레 수천마리…죽은 개들 쏟아져" 가정집서 무슨 일이
  5. 5 "곽튜브가 친구 물건 훔쳐" 학폭 이유 반전(?)…동창 폭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