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경색 올해보다 내년이 심하다"-폴슨

머니투데이 김경환 기자 | 2007.11.21 13:35

대출 기준 완화 등 새로운 모기지 산업 기준 마련 추진

헨리 폴슨 미국 재무장관이 수백만명에 달하는 주택 보유자(모기지 대출자)들이 충분한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어 모기지 산업을 짓누르는 요인이 되고 있다며 이들에 대한 지원대책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폴슨 장관은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모기지 대출 부도는 올해보다 내년에 더욱 크게 증가할 것"이라며 "모기지 기업들이 대출을 제때 갚기 힘든 사람들에게 대출 기준을 완화하는 등의 새로운 기준을 마련하도록 장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컨트리와이드파이낸셜 등 모기지 4사와 아놀드 슈워제네거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대출 금리를 조정할 경우 부도에 처할 위험이 있는 대출자들을 돕기 위해 대출 금리를 일시적으로 동결한다는 계획에 대해 찬성 의사를 표명했다. 그렇기 때문에 폴슨 장관의 이 같은 조치도 많은 환영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시 행정부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자들의 부도를 막기 위한 조치들을 찾아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폴슨은 부시 행정부의 이같은 조치가 주택 보유자들이 계속 집을 포기하지 않고 보유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낮은 미끼 금리로 모기지 대출을 빌린 사람들의 금리가 재조정될 경우 수많은 사람들이 또 다시 디폴트를 선언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경우 주택 경기는 부진에 빠지고 결국 대출업체들은 대출 기준을 더욱 강화하게 되는 악순환을 낳게 된다.


미국 경기 침체 우려를 완화시키기 위해서라도 주택 보유자들에 대한 지원을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폴슨 장관은 의회가 일시적으로 패니매와 프레디맥으로 하여금 현재 상한인 41만7000달러 이상의 모기지를 매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 경우 보다 큰 점보 모기지론까지 포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부시 행정부는 보다 치밀한 감독이 없다면 이를 허용하기는 힘들다면서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징역 3년 이상 나올 듯…바로 합의했으면 벌금형"
  2. 2 "의대 증원 반대" 100일 넘게 보이콧 하다…'의사 철옹성'에 금갔다
  3. 3 김호중 구치소 식단 어떻길래…"군대보다 잘 나오네" 부글부글
  4. 4 유흥업소에 갇혀 성착취 당한 13세 소녀들... 2024년 서울서 벌어진 일
  5. 5 "임대 아파트 당첨!" 들떴던 신혼부부 '청천벽력'…청약선 사라진 제약이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