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글로벌 자산관리기관 도약"

머니투데이 임동욱 기자 | 2007.11.13 08:46

외환위기, 그후 10년.. '부실채권 해결사'서 이미지 변신

97년 외환위기 이후 정부는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을 해결하기 위해 40조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하루에 수십개 기업이 쓰러져가던 시절 자산관리공사(캠코)는 부실채권 문제를 푸는 '해결사'였다.
 
캠코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손을 빌린 그해 11월 부실채권정리기금을 설치, 공적자금 39조4000억원을 들여 금융기관 부실채권 111조원을 인수했다.

이후 지난해 말까지 76조6000억원의 부실채권을 정리해 41조5000억원을 회수하는 등 금융위기 극복의 주역이 됐다. 이 과정에서 한보철강, 대우종합기계, 대우건설 등 굵직한 기업의 인수·합병(M&A)을 성사시켜 기업 회생을 통한 기업 구조조정 시장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02년 부실채권기금의 인수업무가 마무리된 후에도 캠코는 금융시장 위기의 '소방수' 역할을 계속했다. 2003년 이른바 '카드대란' 당시 자체 공사자금을 재원으로 카드사 등의 부실채권 7조8000억원을 대량 인수한 게 단적인 예다. 캠코가 금융 및 기업구조조정의 상시 지원기구로 탈바꿈한 것이다.

캠코는 부실채권 정리업무에 대한 노하우를 토대로 세계적 자산관리 전문기관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대상 기업으로부터 자산(부동산, 유가증권, 매출채권 등)을 인수하거나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상 기업의 부실채권 인수 △대상 채무(또는 출자)기업에 신규자금 지원 또는 지급보증을 포함한 출자 및 투자 △경영정상화를 위한 정상화 방안을 제시하거나 경영진단 및 M&A 등을 알선하는 등 기업 클리닉업무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

해외 진출도 2001년 이후 캠코가 추진하는 주요 과제 중 하나다. 관련 법이 개정되면서 해외부실채권을 직접 투자할 수 있는 길은 이미 열려있다. 캠코는 중국의 4개 자산관리공사, 멕시코 IPAB, 러시아 ARCO 등 9개국, 14개 기관과의 업무협약(MOU) 체결로 국제협력체제를 구축했다. 중국 등 8개 부실채권 정리기구에 부실채권 정리기법에 대한 연수를 실시하는 등 수익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캠코는 부실채권 투자중개 및 컨설팅 경험과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부실채권시장을 공략하는 한편 해외 부실채권시장에 대한 투자의향이 있는 국내 금융기관의 국외 부실채권시장 진출을 돕고 국내 유휴자금의 새로운 투자기회를 찾아나설 계획이다.

베스트 클릭

  1. 1 '황재균과 이혼설' 지연, 결혼반지 뺐다…3개월 만에 유튜브 복귀
  2. 2 "밥 먹자" 기내식 뜯었다가 "꺄악"…'살아있는' 생쥐 나와 비상 착륙
  3. 3 1년 전 문 닫은 동물원서 사육사 시신 발견…옆엔 냄비와 옷이
  4. 4 "연예인 아니세요?" 묻더니…노홍철이 장거리 비행서 겪은 황당한 일
  5. 5 우리 동네 공인중개사들은 벌써 느꼈다…"집값 4%대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