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차 타면 국내차 살리는 애국자?"

이경숙,황국상 기자 | 2007.10.24 13:13

[기후가 기업을 바꾼다]<4-2>규제 강화 속 자동차업계의 변신

편집자주 | 기후변화 시대의 기업에 '기후는 기회'다. 소비시장엔 온난화를 염려하는 친환경 소비자군이, 투자시장엔 기업의 단기이익보다는 이익의 지속가능성을 보는 투자자군이 부상하고 있다. 시장이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일부 대기업들은 벌써 기후에서 기회를 잡고 있다. 머니투데이는 탄소정보공개, 포스트교토 등 달라지고 있는 기업 환경과 그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은 기업들의 사례를 5회에 걸쳐 전한다.

"이건 경쟁력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자동차를 파느냐 못 파느냐 문제입니다."

안수웅 우리투자증권 연구위원이 말했다.

"유럽에선 km당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을 2004년까지 170g까지 낮췄고 2009년까지 140g, 궁극적으로 120g까지 낮추기로 했습니다. 관건은 그게 언제 되느냐일 뿐입니다."

지구 온난화가 자동차업계의 지형을 바꾸고 있다. 24일 일본과 유럽에서는 상징적인 회의 두 건이 한꺼번에 개최된다.

24일 일본에선 토요타자동차, 제너럴모터스(GM), BMW 등 주요 8개 자동차회사 최고경영진이 '세계자동차회의'에 모인다. 주요 논의 주제는 '이산화탄소(CO₂) 등 온실가스 배출 저감'.

이 자리에서 주요 자동차회사 회장들은 화석연료 이외의 대체연료를 개발하는 방안, 각국 정부와 소비자에게 탄소배출 저감에 동참해달라는 성명서를 정리하는 방안도 함께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유럽에선 규제 강화 방안이 논의된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자동차회사의 km당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을 현행 130g에서 125g으로 감축하도록 강제하는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유럽 내 자동차 업계가 130g/km이라는 목표를 달성하자고 자발적으로 결의했지만 이것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자 EU 집행위가 '규제 강화'의 칼을 꺼내든 것이다.

이 방안이 적용되면 국내 업체들의 발등엔 '온난화 불'이 떨어진다. 현재 국내 업체들은 EU 기준인 140g/km에 맞추고 있다. 안 위원은 "온실가스 규제 강화가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전 세계 자동차업계는 발 빠르게 변신하고 있다. 변화는 올 가을 모터쇼에서도 나타난다. 지난 9월 독일에서 열린 프랑크푸르트 모터쇼는 물론 이달 24일부터 11월 초순까지 열리는 일본 도쿄 모터쇼를 장악한 화두는 바로 '친환경'.

토요타자동차의 고급형 브랜드인 렉서스는 프랑크푸르트에서 하이브리드 모델 'LS600h' 'GS450h' 'RX400h'를 공개한 데 이어 도쿄에서도 6기통 휘발유 엔진과 전기 모터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결합된 4륜 구동 차량 'LF-Xh'를 선보인다.

BMW도 프랑크푸르트에서 1km 주행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40그램 이하로 확 낮춘 디젤 차량 모델인 '뉴3' '뉴1' 시리즈 등 모델을 전시한 데 이어, 수소연료 자동차인 '하이드로겐7' 등 친환경 차량을 발표한다.

현대, 기아자동차는 프랑크푸르트 등지에서 수소연료 전지차량 모델 '아이(i) 블루' 등 컨셉트카를 내놨다.

그러나 이제는 국내에서도 업계 차원의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현대ㆍ기아ㆍ쌍용차 등 국내 3개 브랜드는 이미 한 배를 탄 운명이다.

브랜드별로 기준을 집계 하는 EU 등 해외 브랜드와 달리, 국내 3개 브랜드는 3곳을 합쳐 배출량 평균을 집계하고 있다. 쌍용차가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차종을 주로 판매하기 때문에 한국자동차협회 차원에서 EU와 협상을 벌인 결과다.

따라서 안 위원은 "국내사들이 함께 소형차와 디젤차 판매를 높이고 엔진 성능을 향상시키면 평균 배출량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밥 먹자" 기내식 뜯었다가 "꺄악"…'살아있는' 생쥐 나와 비상 착륙
  2. 2 "연예인 아니세요?" 묻더니…노홍철이 장거리 비행서 겪은 황당한 일
  3. 3 "몸값 124조? 우리가 사줄게"…'반도체 제왕', 어쩌다 인수 매물이 됐나
  4. 4 박수홍 아내 "악플러, 잡고 보니 형수 절친…600만원 벌금형"
  5. 5 [단독]울산 연금 92만원 받는데 진도는 43만원…지역별 불균형 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