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교직원도 일 안하면 '아웃'"

머니투데이 최태영 기자 | 2007.10.16 10:56

서남표 총장 "일 잘하면 정년 늘려주고 아니면 퇴출"

KAIST(한국과학기술원)가 교수와 학생에 대한 고강도 개혁에 이어 '철밥통'으로 여겨져 온 대학 직원에 대해서도 구조조정을 하기로 했다. 서남표 총장이 '일 안하는' 직원에 대해 퇴출시키는 방안을 마련키로 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교수들과 함께 안정적인 정년보장직으로 여겨져 온 국내 대학 직원 사회에도 경종을 울릴 지 주목된다.

16일 KAIST에 따르면 서남표 총장은 15일 학내 창의학습관 터만홀에서 취임(작년 7월) 이후 가진 첫 전체 직원회의에서 "일 안하는 직원도 퇴출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서 총장은 이 자리에서 "교수 정년이 65세인데 비해 직원은 최장 61세로 크게 차이가 난다"며 "정부에서 허락할 지 모르겠지만 직원들도 일 잘 하는 사람은 정년을 늘려 보장해주고 그렇지 않으면 내보내는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AIST 직원의 정년은 책임급이 61세, 일반 사무직(선임급 이하)은 58세다.

서 총장은 이날 참석한 300여 명의 직원들에게 "우리 대학 교수나 학생들의 능력은 미국 하버드와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다"면서 "(그러나)우리가 세계적인 대학으로 성장하지 못하는 것은 경쟁이 없기 때문이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학생들이 한번 입학하면 공부를 안해도 학비를 내지 않으며, 교수나 직원도 채용되면 대부분 정년이 보장되는 것이 문제"라면서 강력한 개혁 의지를 내비쳤다.

서 총장은 또 "하버드의 경우 기금만 34조원에 달하지만 우리는 돈이 없다"면서 "내가 요즘 기금 마련을 위해 뛰어다니는 것은 KAIST를 세계적인 대학으로 육성하기 위한 범사회적 차원으로 봐달라"며 농 섞인 말을 던졌다.

이에 대해 대학 홍보실 관계자는 "서 총장 취임 이후 개혁방안이 잇따라 마련 시행되고 있으며 교수 및 학생에 대한 고강도 개혁도 이어지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직원들도 열심히 일해 달라는 주문 아니겠냐"는 반응을 보였다.

KAIST는 조만간 기존 직원 평가 시스템을 개선해 직원 개혁 방안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KAIST는 앞서 작년 12월 학칙을 개정, 내년부터 학점이 좋지 않은 학생에 대해서는 수업료 1500만원을 전액 환수키로 했다. 최근 정년보장 `테뉴어(tenure)' 교수 심사에서는 신청 교수 35명 중 43%인 15명을 탈락시켜 교수 사회에 신선한 충격도 주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2. 2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3. 3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4. 4 민희진 "뉴진스, 7년 후 아티스트 되거나 시집 가거나…"
  5. 5 '수상한 안산 주점' 급습하니 PC 14대…우즈벡 여성 주인 정체는